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관리자의 팔로워십과 임파워먼트,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관리자의 팔로워십이 조직구성원인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2일부터 3월 17일까지 전남 소재 500병상 이상 4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측정 변수의 정도는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분석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관련 요인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측정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다중공선성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의 검증을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가 인식한 간호관리자의 팔로워십과 임파워먼트, 직무만족의 차이에서는 성별에서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팔로워십과 임파워먼트, 직무만족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장 이동 경험에 따른 차이는 직무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가 인식한 간호관리자의 팔로워십과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간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팔로워십과 직무만족 간에 임파워먼트가 조절변수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팔로워십을 간호분야에 적용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조직 구성원들의 리더십 개발 뿐 아니라 팔로워십 증진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변수들을 추가하여 팔로워십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rol effect of empowerment from the effect to the task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aff of the manager of followership,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lowership of nursing manager, task-satisfaction and empowerment that the nurse recognize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nurses working at four general hospitals with 500 beds or more in Jeollanam-do from March 2 to March 17, 2019.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degree of measurement variables were determin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he differences in the relevant fact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and the correlation and multicollinearity among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analyzed a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cy, and Moderato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adjustment effect of the empower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results nursing managers' followership,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by the educational level. In addition, difference from work experience h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i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followership of nursing manager that the subject recognized, empowerment and task satisfaction, the influence between followership and job satisfaction has been found to act as adjustment variables on empowermen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verified its influence by applying recently emerging followership to nursing field. From now on, extensive research is important for the members to develop the leadership of members and follow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