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5년 통계청 집계구 자료를 활용하여 행정동별 직장 및 주택 접근성을 계산하고 이를 2016년 수도권 가구 통행 실태 조사와 결합하여 분석자료를 만든 후, 직장 및 주거 접근성이 통근 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통계 분석 모형으로 통근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통근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교통특성, 접근성 변수 등을 포함한 다중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도권 중심도시인 서울에서 일하는 통근자의 경우 모든 주택 유형에 있어 주택접근성과 통근 시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플러스 계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서울 직장인들이 실제 거주하는 주택과 같은 종류의 주택에 대한 높은 접근성에도 불구하고 직장에서 먼 곳에 주거지를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 간 주택가격 격차가 서울 직장인의 주거입지 선택을 교외지역으로 밀어내어 통근 시간이 길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서울 직장인들과는 반대로 경기·인천의 교외지역에서 일하는 통근자의 경우 주택접근성과 통근 시간의 관계는 모든 주택 유형에서 마이너스 값을 나타내고 있어 이들 지역에서 일하는 통근자의 경우 직장 주변의 주택 접근성이 높으면 통근 시간이 짧아진다는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셋째, 서울 거주자의 직장 접근성과 통근 시간의 관계를 보면 모든 직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마이너스 계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거주지 근처에 통근자의 직업과 동종의 직장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면 통근 시간이 짧아진다는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넷째, 경기·인천 거주자의 경우 전문직종, 관리업 및 사무업종의 직장 접근성은 통근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는 반면 서비스업종, 판매업종, 기능 및 단순 노무업종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마이너스 값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job and housing accessibility oncommuting time for the commu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 measure the joband housing accessibility by administrative dong using 2015 micro area (jipgegu) datafrom the Korea Statistical Office, and combine this with the 2016 household travelsurvey data. We build multiple regression models which include commuter’s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commute modes, and accessibility variables as predictorvariables of commuting time.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commutersworking in Seoul,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accessibility and commuting time was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for all housing types. This finding seems to be because itis difficult for workers in Seoul to find an affordable house around the workplace dueto the high housing prices in Seoul.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housingaccessibility and commuting time for commuters working in suburban areas of Gyeonggi-Incheon, and between job accessibility and commuting time of residents in Seoul are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efficient values, indicating that commuting time wouldbe shortened if there were more jobs or housing near the residence or workplace inthese areas. Lastly, in the case of residents of Gyeonggi-Incheon, job accessibility ofprofessional, managerial and office worker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commuting time, while service, sales, functional and simple labor industries have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value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commuting time of high-paid professional workers living in suburban areas is not affected by the jobaccessibility of res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