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저비용항공사 승무원의 용모규정완화가 승무원의 자아존중감과 직무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항공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재직 중인 저비용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구글 서베이를 사용하였고, 총 248부의 유효 설문이 최종 실증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은 SPSS 2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승무원의 용모규정완화는 메이크업 요인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직무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요인과 자발적, 업무적 고객지향성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직무몰입은 자발적, 업무적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진행되지 않았던 저비용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변화된 용모규정완화가 자아존중감과 직무몰입 및 고객지향성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은 항공사 승무원의 변화된 용모규정을 보다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계획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는 항공사의 발전에 중요한 실무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항공업계에서 저비용항공사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 of deregulation of flight attendant’s physical appearance on their self-esteem,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a survey among low cost carrier flight attendants in Korea. A total of 248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5.0. Analy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deregulation of flight attendant’s physical appearance codes did not exert any significant effects on self-esteem or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self-esteem of flight attendants affected positively bot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Also, as respondents hold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y tended to be more customer oriented.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in reality, the deregulation policy of physical appearance codes did not contribute to an increase of airline crew’s self-esteem, except for the partial influence of make-up. The results will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airline industry.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presented in this study for industry practitio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