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이 통합된 중등학교 미술수업에 대한 미술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 미술수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지적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중등미술교사 8명에게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전사 자료는 연속적 비교분석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22개의 하위 주제, 5개의 주제, 2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 미술수업은 교육과정적 통합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었으나, 미술교사는 자리배치, 심리·정서적 배려, 또래 도우미 배정 등의 교수환경 수정과 연수 참여 등 개인적인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통합 미술수업을 통해 지적장애학생은 사회성 기술 향상을 비롯한 긍정적 성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편 미술교사들은 통합교육 관련 전문성 부족, 열악한 교수환경, 원활하지 않은 구성원 간 협력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이와 관련한 지원 요구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미술 교수학습방법, 평가 방법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과 교재교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보조 인력 및 전문 인력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미술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연수가 제공되어야 한다. 다섯째, 미술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여섯째, 통합교육에 대한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인식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successful inclusive art education by analyzing art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and experience of art classes in inclusive secondary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secondary art teachers who had inclusive educational experienc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22 sub-themes, 5 themes and 2 categories were classified. As a result, the current art education did not reach to the curriculum inclusion, but art teachers made personal efforts such as modifying the teaching environment including seat arrangement, psychological/emotional consideration, and assigning peer assistant, and participation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positive outcomes including improved social skills through inclusive art classes. Meanwhile, art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expertise on inclusion, poor teaching environment, and low collaboration among school staff, and requested support needs in this regard.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evaluation method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st be improv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inclusive art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personnel and professional personnel. Fourth, systematic teacher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expertise on inclusion.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art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ixth, it is necessary to raise positive awareness among school staff about i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