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문제와 직접적인 관련 하에 전개된 ‘일탈론’을 유학과 불학사상으로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즉 현대사회학에서 논의되는 일탈론의 한계점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사상으로서의 유학과 불학 사상을 제시하여, 이를 통해 새로운 일탈론을 모색하였다. 지금까지의 현대 일탈론은 인간이 종속변수가 되고 사회구조가 독립변수가 되어 논의된 이론이 대부분이다. 이들 논의는 사회적 규범과 사회적 제도를 기준으로 하여 인간의 행위를 정상과 비정상으로 나누어 접근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사정으로 일탈관련 연구는 대부분 범죄연구와 관련하여 진행되어 왔다. 이들 논의들이 ‘사회통제’와 ‘사회질서’의 관점에서 인간의 행위를 진단하므로 사회적 현상을 설명해내는 경험적 연구로서는 의의가 있다. 그렇지만 실제 ‘일탈’의 보편적, 특수적 원인과 그 행위가 사회제도와 어떤 상호관계를 맺으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론 연구로 나아가는 데는 설명력이 부족하다. 일탈의 문제가 일차적으로 사회적 규범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주체적 인간의 행위와 가치의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지금까지 간과해 온 주체적 인간의 행위와 사회와의 관계적 측면에 주목하여 일탈 논의를 새롭게 볼 필요가 있다. 유학과 불학 사상이 지닌 존재론과 가치론은 지금까지 인간과 사회가 분리되어있던 일탈론에 인간의 행위와 사회적 관계에 주목하도록 하여 이 둘의 관계를 새롭게 정의 내리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과 사회,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통체적으로 접근하는 자연관, 인간관, 세계관을 토대로 유학과 불학적 일탈을 정의 하는 것과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서 수행론에 주목하였다. 유학적 일탈행위는 ‘천리본성의 실현을 벗어나 사적 욕망의 감정으로 치우쳐 중도를 실현시키지 못한 행위’로, 불학적 일탈행위는 ‘인간이 무명으로 인해 불성과 진여의 본성에서 벗어나 탐욕과 분노, 어리석음(貪·瞋·痴)에 빠져 관계의 실상을 파악하지 못하고 고통을 유발하는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 유형은 각각 도덕적 관계로부터의 일탈과 수양적 삶으로부터의 일탈, 연기적 관계로부터의 일탈과 수행적 삶으로부터의 일탈로 크게 나눠 살펴볼 수 있다. 이상의 논의는 지금까지 일탈론에서 간과되었던 인간행위의 주체적 측면을 강조하며, 인간행위와 사회관계 및 구조와의 역학관계를 재고하게 한다. 더불어 일탈 행위를 극복하는 실천적 방법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approach “deviance” developed under a direct relationship with soci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the limitations of deviance theory in modern sociology, then presents Confucianism and Buddhism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thereby seeking a new theory of deviance. Most modern deviant theory research has considered human beings and social structures as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Such studies have divided human behavior into normal and abnormal behaviors based on social norms and societal/ institutional standards. As such, most devianc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crime studies. Given that these discussions examine human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trol” and “social order,” they are significant empirical studies that explain social phenomena. However, these studies lack explanatory power to conduct a methodological study that overcomes the general and special causes of actual devia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institutions. Although deviance is primarily a problem of social norms, it is also a problem of subjective human behavior and val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deviance while considering subjective human behavior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ety, which has been neglected to this point. The ontology and value theories of Confucian and Buddhist ideologies draw attention to human behavior and societal relations in deviance theory, where humans and society have been separated thus far, thereby re-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ence, this study focuses on defining Confucian and Buddhist deviance based on a view of nature, a view of human beings, and a view of the world that approach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society, and Man and nature. It then suggests a theory of asceticism as a method of overcoming it. Confucian deviant behavior is “an act that failed to realize the middle way(中道) due to bias toward the feeling of personal desire, away from the realization of the heavenly principle nature.” Meanwhile, Buddhist deviant behavior refers to “an act of human beings escaping from the nature of Buddhahood and suchness(tathata) due to ignorance.” Deviance causes pain without grasping a relationship’s reality due to greed, anger, and foolishness. These typ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deviations from moral relations, disciplined life, dependent-arising(綠起: pratītyasamutpāda) relationships, and ascetic life. This study gives vitality to the subjective aspect of human behavior, which has thus far been overlooked in deviance theory and provides a perspective that enhances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havior and societal relations and structures. Furthermore, it can serve as a basis for practical methods to overcome deviant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