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복지사가 국민 행복을 증진하는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경험하는 스스로의 행복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가치중심적 전문직인 사회복지사가 느끼는 궁극적인 가치와 의미의 유데모니아적 행복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에는 주로 소진과 같은 부정적 측면이나 즐거움 같은 헤도니아적 행복이 주로 다루어져 왔다. 행복은 헤도니아와 유데모니아가 함께 충족되어야 하는 개념으로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두 차원의 직무만족을 모두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판 전반적 헤도니아-유데모니아 직무만족(K-GHEJS) 척도를 사용한 ‘사회복지사의 유데모니아’ 자료를 분석하여 사회복지사 376명의 헤도니아 및 유데모니아적 직무만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소득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업무량이 작을수록 헤도니아가 높아졌으나, 유데모니아와는 통계적 관련성이 없는 것이 차별점으로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직의 헤도니아와 유데모니아적 직무만족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happiness of social worker's role in promoting the happiness of the people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ultimate value and meaning of eudaimonic happiness felt by social workers as a value-oriented profession, negative aspects such as work-related burn-out or hedonic happiness such as pleasure has been mainly focused so far. Happiness is a concept that must be met with both hedonia and eudaimonia,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both two dimensions of job satisfaction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376 social worker's hedonic and eudaimonic job satisfaction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m by analyzing “Social Worker's Eudaimonia” dataset in which the Korean Version of Global Hedonic & Eudaimonic Job Satisfaction(K-GHEJS) scale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hedonia and eudaimonia were different so that hedoni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education, income and workload while eudaimonia was not. Based on these results, how to improve the hedonic and eudaimonic job satisfaction among social workers wa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