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집단전형(group prototype)은 특정한 상황에서 집단구성원의 속성과 행동을 기술하고 나타내는 집단정체성의 이상적인 모습이다. 리더십에 대한 사회정체성차원의 접근에서는 리더십의 유효성이 리더의 모범적인 모습이나 성과보다는 리더가 얼마나 집단의 전형과 가까운 존재로 지각되는가 하는 점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 연구에서는 상사의 집단전형성에 대한 지각이 상사의 의사결정방식에 대한 부하들의 절차공정성지각 및 맥락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상사에 대한 집단전형성지각과 부하들의 맥락수행 간의 관계가 의사결정의 절차공정성지각에 의해 설명될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또한 집단에 대한 동일시 수준이 높을수록 상사의 집단전형성지각이 의사결정의 절차공정성지각에 미치는 효과가 증가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에 따를 경우 리더의 집단전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의사결정절차가 공정성의 규칙을 따른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의 의사결정의 절차공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맥락수행의 두 가지 차원, 즉 직무 헌신행동과 대인적 촉진행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매개회귀분석의 결과 리더에 대한 집단전형성지각과 직무헌신행동 및 대인적 촉진행동 간의 관계는 의사결정의 절차공정성지각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하였던 바와는 달리 리더에 대한 집단전형성지각이 의사결정의 절차공정성지각에 미치는 효과는 집단동일시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결론에서 실증분석의 결과가 지니는 의미와 한계,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author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leader prototypicality and contextual performance of subordinates. And,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of supervisors’ decision making process between perceived leader prototypicality and contextual performance of subordinates was also tested. We hypothesized that the perception of group identificatio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prototypicality and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in decision making process of supervisors. Based on related theory and literature review, 6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test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80 employees of 4 major firms. Among returned questionnaires, 211 samples were used for empirical study. According to results, the perceived leader prototypicali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of supervisors’ decision making, and this percep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wo dimensions of subordinates’ contextual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results suggest that employees who perceived leader prototypicality felt procedural justice of supervisors’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in turn increases their contextual performance. On the contrary, the moderating role of group identification between leader prototypicality and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in decision making process of supervisors was not supporte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