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급변하는 경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극적으로 변화를 시도하는 구성원들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잡 크래프팅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구성원들의 잡 크래프팅과 조직 효과성의 긍정적인 관계는 선행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지만 실제로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잡 크래프팅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비서직 종사자들이 기업 현장에서 어떻게 잡 크래프팅을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비서직 종사자들의 잡 크래프팅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비서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비서들의 잡 크래프팅은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구성요소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구성요소는 첫째, 직무 크래프팅(기존 업무를 새로운 방식으로 변경 및 확장, 기존 업무 중 비효율적인 업무 방식 축소, 기존 업무에 집중, 기존 업무에 강점과 흥미 반영, 기존 업무 외에 추가적인 업무 수행) 5가지, 둘째, 관계 크래프팅(동료와의 네트워킹 확장, 동료와의 네트워킹 축소, 상사와의 친밀한 관계 확장, 후배 비서 및 동료에게 멘토 역할) 4가지, 셋째, 인지 크래프팅(직업에 대한 자신만의 역할 정의, 직업의 특수성과 중요성 인지, 직업의 사회적 기여도 인지, 직업을 경력개발 및 천직의 관점으로 인지, 자신과 직업의 행복에 대한 인지) 5가지이다. 이 연구 결과는 비서직의 경력개발은 물론 조직 구성원들의 주도적인 직무 태도 촉진을 위한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ositive influence of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s been proven by quantitative research, but there was lack of research on how to craft workers’ job in actual work plac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through qualitative study, how professional secretaries are doing job crafting at the work pl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job crafting of professional secretaries is similar to the job crafting of professional secretaries noted in previous studies. The components are as follows. First is task crafting (changing and expanding the existing work in a new way, reducing ineffective work process, concentrating on existing work, displaying strength and interest in existing work), Second is relational crafting (extending and/or reducing networking with colleagues, expanding relationships with their bosses and mentoring younger secretaries and colleagues), Third is cognitive crafting (definition of one’s own role as secretary, a secretary’s perception of being important, recognition of social contributions of the occupation, recognizing a career as a career development process and one’s calling as a vocation, acknowledgment of the happiness of oneself and with their job).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education data for career development of secretarial staff as well as promoting a proactive attitude at the work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