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서울형혁신교육지구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아이들의 올바른 성장’을 추구하는 자치교육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이다.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의 핵심은 민(지역사회, 학부모, 학생)과 관(서울시, 자치구, 교육지원청), 학(학교, 교사)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참여와 협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Ansell & Gash(2007)의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을 이론적 분석틀로 활용하여 도봉구와 마포구, 은평구에서 민관학 세 주체 간에 나타나는 협력 과정을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기초자치단체의 초기 조건, 촉진적 리더십, 제도 설계, 협력 과정에 따라 거버넌스 구조가 다르게 형성되며, 이는 각 자치구별 협력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민관학 거버넌스에서 각 주체의 실질적인 협력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in Seoul is a project to build a self-governing educational community in which schools and communities connect with each other in pursuit of 'the right growth of children.' The core of the Seoul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roject i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through collaborative governance of citizens (local communities, students and their parents), government (Seoul Metropolitan City, autonomous district, and Seoul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s (schools, teachers). This research used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 of Ansell & Gash (2007)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the cooperative process between the three actors in Dobong-gu, Mapo-gu and Eunpyeong-gu.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se study, the governance structure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itial conditions of each autonomous district, the leadership, the institutional design, and the cooperative process. This study suggests the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the practical cooperation of each policy actors in public-private gover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