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는 원자력재난 발생 시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해「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에서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을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방사능사고에 대한전반적인 관심이 부족하여 원자력 대피시설의 적합성과 관련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취약인구 분포 및 접근성 분석을 기반으로 현재 부산시 방사선비상계획구역 중 긴급보호조치계획구역의 대피시설의 입지 적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원전시설이 입지하고 있어 가장 위험성이 큰 기장군은 전체 도시지역 면적의 4.05% 만이 5분 내 대피가능지역으로 분석되었으며, 금정구는 36.93%, 해운대구는 37.23% 만이 대피시설 서비스 가능지역에 포함되어 해당 지역에 더 많은 대피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노인 인구 집중지역에서 대피시설이 부족한 곳이 많았고, 같은 구내에서도 동 간 격차가 커, 취약계층뿐 아니라 지역 간 형평성을 모두 고려하여 긴급보호조치계획구역 내 대피시설 입지 우선순위를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 has set up a radiation emergency planning zone based on the「Act on PhysicalProtection and Radiological Emergency」to protect residents living near nuclear powerplants in the event of nuclear disasters.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appropriateness of existing nuclear evacuation facilities because of a general lack ofinterest in nuclear accidents. This research addresses this gap by analyzing the locationadequacy of evacuation facilities in Busan's emergency protection planning area based onvulnerable populations and accessibility analyses. The Gijang-gun which has the greatestrisk, shows that only 4.05% of the total urban area was included in the evacuationservice area within 5 minutes while only 36.93% of Geumjeong-gu and 37.23% ofHaeundae-gu were included in the evacuation-enabled area. In addition, evaluationfacilities in the elderly population hotspots were lacking, and there was a wide gapbetween dongs within the same Gu. Thus, additional evacuation facilities need to bedesignated and installed considering the spatial equity between areas and safety of boththe public and vulnerable pop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