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교육’이 추구해 가야 할 방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기교육’을 탐색하는 이유를제시하고, 홀리스틱교육과 불교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자아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두 교육을 비교대상으로 삼은 이유는교육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사띠명상법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내용은 이러한 논의내용을 바탕으로 ‘자기교육이란 나의 나에 의한 나를 위한 교육’으로’나아가야 함을 유식의 삼성설과 대비시켜 3단계로 나아가게 하자는 것이다. 자기교육의 의미와 방향성을 간략히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나의교육’이란 삼성설의 변계소집성에해당하는단계로간주할수있다. 이단계에서는자기교육이독자성과개성을강조하면서 →종국에는無我性을자각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한다. ② ‘나에 의한 교육’이란 삼성설의 의타기성에 해당하는 단계인데 여기서는자립성과 자율성(자기주도성)을 강조하며 → 궁극에는 不二性을 깨닫도록 하자는 의미의 자기교육을 뜻한다. ③ ‘나를 위한 교육’이란 삼성설의 원성실성의 단계로 여기서는 반성적 사고를 통한 상호관계성과 인과성의 의미를 이해하고 공공성과 사회성 및 윤리성을 회복하여 → 靈性과 緣起性 그리고 空性의 바른 이해와 실천으로 나아가게 하자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간결하게 제시해보면 홀리스틱 교육은 자아(나)가 전체(cosmos) 속에서 수용되고 포함될 수 있다는 자아관 에서 출발함을 알 수 있다는 점이다. 사띠명상법(알아차림 명상법)을 불교수행의 주 된 방편으로 삼는다는 의미에서의 불교교육은자아(나)가 곧 전체이며 또한 전체는 나(자아)와 동일시 될 수 있다는 자아관의 입장을 취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곧 전체(코스모스)와 부분(자아)은 하나로 연결될 수 있고 결국 하나(一元)로 귀결되기 때문에 무아라는 입장을 수용할수 있는 것이다. 자기교육에서도 사띠명상법의 활용을 통해 자아초월의 정신영역으로까지 인격적 영적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는 앞의 두 교육론과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자기교육은 자아(나)가 중심이 되어 시작된다고 하는 점에서는 앞의 두 가지 교육과는 구분된다. 따라서 자기교육은 미래에 새로운 교육의 대안 책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확신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that self-educational should pursue. To this end, the reason for searching self education was presented, and the self-view that was dealt with in holistic education and Buddhist educa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reason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se two educations is that they have a common point that the Sati Meditation method can be used in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contents are, based on these discussions, it was suggested that “self-education” should proceed to “education for me by myself” by dividing it into three stages in contrast with the learned Samsung theory. A brief proposal of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self-education is as follows. ① ‘Education of me’ can be regarded as a stage corresponding to the convocation of the Byeonggye. At this stage, it is emphasized that self-education must go in the direction of being able to realize the self-education and individuality → In the end, it emphasizes the need to move toward self-awareness on the selflessness. ② ‘Education by me’ is a stage that corresponds to self-reliance, but here it emphasizes independence and autonomy (self-directedness) → It means self-education in the sense of letting people realize non-twoness in the end. ③ ‘Education for me’ is the stage of original sincerity. Here, through reflective thinking, understand the meaning of interrelationships and causality, restore publicity, sociality, and ethics → advance to a correct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spirituality, pratītyasamutpāda and emptiness Is to do.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holistic education starts from the self-view that the self (I)can be accommodated and included in the cosmos. Buddhist education in the sense that the Sati meditation method (knowing meditation method) is the main method of practicing Buddhism takes the position of a self-view that the self (I) is the whole and the whole can be identified with me (the self). I can understand. This means that the whole (cosmos) and the part (self) can be connected as one and eventually result in one (一元). Self-education also has a similarity with the previous two educational theories in that it is possible to achieve personal and spiritual growth to the spiritual realm of transcendence through the use of the Sati meditation method. However, self-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two education in that it begins with the self (I) as the center. Therefore, I am confident that self-education has enough potential to become an alternative to new educatio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