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상북도 내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산림시업이 산불수관층 연료의 수직적 분포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수관연료의 수직분포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경상북도 영주지역에 시업지 소나무림과 경상북도 봉화지역에 비시업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각 지역마다 10본의 표본목을 벌채한 자료를 이용하여 수직분포모델을 개발하였다. 적용대상지는 제 6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중 경북지역 내 산림시업지, 비시업지 소나무림만을 추출한 표본점을 선정하였다. 개발한 두 모델의 적합도지수의 범위는 0.984∼0.989로 나타났으며, 추정된 모수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다(P<0.05). 연구 결과, 비시업지 임분의 수직적 수관연료량 분포 범위는 약 1m∼11m으로 임분높이 5m 지점에서 연료가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반면, 시업지 임분의 수직적 수관연료량 분포범위는 약 1m∼15m으로 임분높이 8m 지점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수관연료밀도는 시업지 임분이 0.16kg/m3, 비시업지 임분은 0.25kg/m3로 비시업지 임분이 시업지 임분에 비해 약 1.6배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수관연료를 3차원적으로 해석함에 있어 3D모형 구현을 통한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forest tending works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ildfire fuel loads on Pinus densiflora stands in Gyeongbuk province. The study sites were located in Youngju and Bonghwa in Pinus densiflora s tands. A total of 10 sample trees were col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crown fuel vertical distribution model. The 6th NFI (National Forest Inventory) selected a sample point that only extracted from managed and unmanaged stands of Pinus densiflora in the Gyeongbuk province. The fitness index (F.I.) of the two models developed was 0.984 to 0.989, with the estimated parameter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As a results,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ildfire fuel loads range of unmanaged stands was from 1m to 11m with the largest distribution at point 5m at the tree height.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ildfire fuel loads range of the managed stands was from 1m to 15m with the largest distribution at the point of 8m at the tree height. The canopy bulk density was 0.16kg/m3 for the managed stands and 0.25kg/m3 for the unmanaged stands, unmanaged stands were about 1.6 times more than managed stands.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available for simul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3D model as crown fuel was analyzed in three dimen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