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내에 위치한 국제학교로의 진학은 한국 상류층의 교육방식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국제학교는 배타적이고 특권적인 문화자본의 형태로 부모의 경제자본이 학교라는 제도화된 문화자본으로 전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논문은 자녀를 한국의 국제학교에 진학시키는 상류층 어머니들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자녀를 국제학교에 진학시키는 이유와 이들의 코즈모폴리탄 교육방식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제학교는 일반학교와 구별되는 배타적 차별성을 가지는 글로벌 문화자본의 공급처일 뿐만 아니라 국내 일반학교와 외국학교 사이의 트랜스내셔널 레버리지 교육기관으로 작동한다. 즉 국제학교는 입시지옥과 학원으로 대별되는 국내의 지배적인 학습방식으로부터 탈피해 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외국대학 진학의 디딤돌이라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국의 국제학교에서 행해지는 코즈모폴리탄 교육방식은 크게 영어와 국제적 교육환경에의 노출, 코즈모폴리탄 전인교육, 그리고 글로컬 양다리 교육을 특징으로 한다. 국제학교가 외국대학 진학과 한국대학 진학이라는 동시적 길을 열어주기 때문에 이는 트랜스내셔널 레버리지로 작동하는 동시에 트랜스내셔널 샌드위치로도 작동한다. 즉 국제학교 학부모들과 자녀들은 국제학교가 가지는 트랜스내셔널 위치성 때문에 위치 경쟁에서 장점을 얻는 동시에 글로벌 교육과 로컬 교육 사이에 끼여 여러 갈등과 모순을 경험하게 된다. 이 논문은 점점 더 글로벌화 되어가는 교육환경에서 한국 상류층의 교육전략과 교육방식이 어떻게 국제학교를 통해서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육의 계층화, 글로벌 기회, 그리고 글로컬 모순과 타협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Studying at an international school has become a major educational strategy of upper class families in Korea. The international school can be considered as exclusive and privileged cultural capital that transforms parents’ economic capital to institutionalized cultural capital. Through our qualitative interviews with upper class mothers,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why they sent their children to international schools and how they are doing their cosmopolitan education. International schools differ from ordinary schools in the sense that they provide exclusive global cultural capital, which we call a transnational leverage. It is an enabler of upper class family to escape from the dominant Korean education style that leads to “examination hell” and heavy dependence on private institutes. Instead, it provides their children with means to enter foreign universities. The cosmopolitan education in international schools located in Korea can be characterized as: exposures to English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s, cosmopolitan whole-person education, and glocal spraddle-legged education. Because international schools provide both ways to foreign and Korean universities, it leads to a transnational leverage and a transnational sandwich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while international school's transnational positionality provides advantages to upper class families to win positional competition, it also generates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between global and local educations. Ultimately,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how stratification of eduction, global opportunities, and glocal conflicts and negotiations interact by looking at upper class families' cosmopolitan educational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