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인식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기관의 인적관리를 통한 사회복지실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형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43개의 진술문을 가지고 사회복지사 29명을 대상으로 Q 분류를 실시한 결과, 네 가지의 인식유형이 도출되었다. 첫째, “업무과다-전문직 정체성 혼란”은 계획되지 않은 업무가 과도하게 주어지고, 직위가 경력에 비추어 적절하지 않고, 현재의 업무가 높은 수준의 기술이나 지식이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한다. 둘째, “근무환경 열악-미래비전 불투명형”은 직장 동료들과의 상호관계는 원만하나 근무환경이 열악하고, 능력을 개발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아 직업유지가 불투명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능력개발 기회부족-자율성 부족형”은 기준이나 일관성 없는 업무지시를 받으며 직업이 평소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전문직으로서의 능력개발 기회와 자율성이 부족하다고 인식한다. 넷째, “업무 범위 광대-직무몰입 저해형”은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해야 하며 미래 비전이 불투명하다고 인식한다. 스트레스 유형을 토대로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념의 지평을 넓혀 주었고, 이를 통해 인적자원 관리를 통한 사회복지실천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intends to grasp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on the occupational stress and identified their perception ty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or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o conduct an orienta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s among social workers. The Q-methodology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 of Q-sort with 43 statements targeting 26 social workers showed that there were 4 types. Type 1 “Skill-Knowledge and Position Incompatibility” means that their work overloaded with unplanned work. It was recognized that the position was not appropriate in terms of experience and that the current work does not require high level of skills or knowledge. Type 2 “Lack of Career Growth” means that they don’t want to maintain their job. Because They do not have the opportunity to develop the ability. but, they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coworkers. Type 3 "Bad Working Condition" means that social workers receive inconsistent instructions from superiors and there is no opportunity to exercise their decision-making ability. Type 4 “Scope of Work is Too Broad” means that social workers perform too many tasks at the same time and in effect, they are not able to develop specific skills for the job. This study shall provide various measures to address occupational stress among social workers according to the type of stress that they are experiencing. In this way, we will be able to improve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rough human resources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