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780년 청나라 여행에서, 연암에게 가장 특별한 체험은 무엇이었을까? 의심의여지없이 熱河를 다녀온 일이다. 무엇보다 제목에 ‘熱河’를 앞세웠고, 56일의 여행을 담은 7편의 일기 중 열하와 관련된 16일의 견문과 소회를 담은 것이 3편이나 된다. 열하 여행을 종점으로 일기체 기술을 포기하는 것도 하나의 증좌이다. 이 논문은 ≪열하일기≫의 <막북행정록>을 분석하여, 1780년 8월 5일과 9일 사이, 北京에서 熱河에 이르는 행로를 재구성한 것이다. 8월 5일 오전 10시경에 북경을 떠난 연암 일행은 9일 아침 10시 즈음에 열하 숙소에 도착한다. 당시 북경과열하 사이의 거리가 240km 정도 되었는데, 이를 나흘 만에 주파했으니 하루 평균60km 정도를 이동한 셈이다. 당시 사행의 하루 노정이 길어야 40km였으니, 그보다 하루 평균 20km를 더 이동했던 것이다. 연암은 과연 어떤 길을 통해 열하(지금의 河北省 承德市)에 갔을까? <막북행정록>에 나오는 여러 지명들은 지금의 어디에 해당하며, 연암이 특별히 충격 받고 감동했던 곳은 어느 지점인가? 연암이보았던 풍경들은 어떻게 달라져 있는가? 그 행로를 따라가며 ≪열하일기≫를 읽고, 그날의 감동을 추체험하는 것은 가능한가? 논의는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변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암이 지났던 경로를 대략 재구성하였으며, 중요한 지점을비정하였다. 그 과정에서 ≪열하일기≫의 기술에 보이는 몇몇 오류를 바로잡았다. 이 논문은 한국문학의 지리공간에 대한 탐색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북경에서 열하에 이르는 옛길 및 그 주변 지역을 한국문학의 공간으로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 이 논문의 중요한 성과이다.


What was the most special experience for Yeonam during the journey to Qing in 1780? Without a doubt, it was the journey to Rehe. Most of all, he used ‘Rehe’ in the titles in his writings. Of total 7 diaries written during the journey for 56 days, 3 diaries contained the experience and impression related to Rehe for 16 days. Another evidence was that he didn’t use the diary style in his writings after the journey to Rehe. This paper analyzed ‘Makbukhaengjeongnok’, the part 5 in Yeolha-ilgi which reorganized the route from Beijing to Rehe from Aug. 5 to 9, 1780. The diplomatic envoy of Yeonam left Beijing at around 10 o’clock in the morning on Aug. 5 and arrived at the accommodation in Rehe at around 10 o’clock in the morning on Aug. 9. It was about 240km from Beijing to Rehe at that time. It meant that the diplomatic envoy of Yeonam completed the route just in three days. He moved about 60km per day in average. The daily travelling distance for the diplomatic envoy was maximum 40km. Then, the diplomatic envoy of Yeonam moved 20km more than other envoys per day in average. Which route did Yeonam take to go to Rehe(Chengde-si, Hebei Sheng at present)? To which places at present did the names of places mentioned in the ‘Makbukhaengjeongnok’ correspond? In which places was Yeonam impressed and shocked most specifically? How were the sceneries which Yeonam saw changed? Is it possible for us to read the ‘Yeolha-ilgi’ and to experience his impression as following his route? The discussion comprises of the answers to those questions above. The route of Yeonam was roughly reconfigured and the important places were investigated.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several errors found in the description in ‘Yeolha-ilgi’ were corrected. This paper was a part of investigation on the geographical space in the literature of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was to verify the possibility to embrace the old route from Beijing to Rehe and the areas along the route as the space of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