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술놀이에서 유아의 배움에 대한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그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담임교사인 연구자가 만 4세반 유아 20명과 누리보조교사를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전사본 및 현장노트, 문서, 사진 등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존체인 신체성,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몸을 통해 배우는 능동적인 존재로서 친구와 교사와 더불어 직면한 상황을 해결하고 수용하며 배워갔다. 이 과정에서 유아는 예술적 배움의 기호를 만나 역동적으로 전환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였고, 가상적, 실제적 맥락에서 내러티브를 구성하며 새롭게 해석한 것을 시각화하며 배움을 이뤄갔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미술놀이에서 유아의 배움을 드러내어 유아를 바라보는 관점과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여 교육현장의 방향성을 제공한다. 미술놀이에서 교사는 유아가 몸을 통해 배워간다는 지평을 확장하고 유아가 역동적으로 실험하는 미술놀이를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교사는 내러티브의 맥락에 따라 상호작용을 하고 유아의 개별성을 유념하며 기록 작업을 실시해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children's learning in art play and to explore the substantial meanings of the experiences. Based on van Manen’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earcher, who was also the classroom teacher, observed and interviewed 20 children and a sub-teacher in the class of 4-year-olds. Transcripts, fieldnotes, documents, and pictu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existential system-body, time, space,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hildren actively learned through their body with their friends and teachers as they accepted and solved the problems in current situations. Throughout the process, the children generated new ideas as they met the artistic learning signs and participated in learning as they visualized new interpretations from the construction of narratives in both virtual and actual contex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children’s learning in art play as well as the perspectives toward young children and teachers’ rol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s of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at children learn through their bodies and need to activate art play in which children make experiments dynamicall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eachers need to interact with children based on the contexts of narratives and document children’s individual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