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단순포장(plain packaging) 제도는 담배포장에 표시되는 브랜드 및 제조사 이름의 표기방법을 제한함으로써 광고효과와 구매욕구를 떨어뜨리기 위한 보건정책상의 조치이다. 동 제도를 둘러싸고 담배의 주요 생산국이 이러한 제도를 최초로 도입한 호주를 WTO에 제소한 바 있고, 이에 대한 WTO의 패널 보고서가 제한적으로 회람된 상황이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패널은 호주의 동 제도가 WTO 협정, 특히 TRIPS 협정과 합치된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패널 보고서가 공개되기 전에 국제적으로 전개되는 관련 논의들을 정리하고 나름의 관점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여기서는 단순포장제도가 TRIPS 협정상 ‘상표권’ 보호규정들과 합치되는지 여부에 관하여 집중하고자 한다. 우선 단순포장의 근간이 된 WHO의 기본협약과 호주의 입법에 대해서 살피고, 이어서 TRIPS 협정 및 동 협정에 의해 회원국이 준수해야 하는 파리협약상의 규정들에 대해서 분석한다. 특히 협정 제20조 규정은 단순포장제도와 잠재적으로 충돌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단순포장과 관련된 논의에서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문제를 지식재산권과 공중보건의 충돌문제로 보아야 하고, 관련 쟁점이 이들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방법으로 해소되어야 한다고 본다. 하지만 균형이란 때때로 상당한 모호성을 가져오며, 균형추를 어디에 둘 것인가는 입장에 따라 상당히 다를 것이다. 상표 또는 상표권이 가지는 특징들로 인해, 더욱이 TRIPS 협정이 WTO 협정의 부속서라는 점 때문에 제20조의 의미는 현재까지의 논의와 사뭇 다르게 전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표(권)의 본질 및 TRIPS 협정의 문맥 논의를 통해 단순포장제도에 있어 충돌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고, 해석을 통해 단순포장제도를 달리 정당화할 수 있다. TRIPS 협정은 대체로 지식재산권의 보호수준을 높이기 위한 규정들로 채워져 있지만, 무역자유화를 도모하기 위한 방편으로 지식재산권이 활용하는 예들도 발견할 수 있다. 만약 단순포장제도가 내외국의 상품을 차별하는 조치가 아니라면, WTO 협정에 합치될 것이라는 것이 본 논문의 요지이다.


The compulsory plain packaging which applies to tobacco products is a health policy measure in order to limit the advertising effect and the desire to purchase by restricting the promotional packaging as well as the labeling of the brand and the manufacturers’ name (trade name) displayed on the tobacco packages. Regarding the regulation, major producers of tobacco have initiated WTO dispute complaint against Australia, which introduced such a regul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nd the WTO Panel’s report on this legislation is circulated restrictively. According to press reports, the Panel appears to be in a position that the Australian Plain Packing Act is consistent with the WTO Agreement, especially the TRIPS Agreement. This Article aims to summarize the international discussions and to suggest the own view of the author before the Panel’s Report is published. However, it focuses on whether such a packaging regulation is compatible with the ‘trademark’ protection under the TRIPS Agreement. It firstly reviews the WHO’s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 which recommends their Member States to introduce the plain packaging into their national legal system and the Australian legislation in question, and analyzes the provisions of the TRIPS Agreement and the Paris Convention that Member States are obliged to comply with under the TRIPS Agreement (Art. 2.1). In particular, the obligation under Article 20 of the Agreement is examined conscientiously, for they may be potentially conflicting with the plain packaging. In the discussion on the plain packaging, most scholars regard the problem as a conflict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public health, so that the problem should be solved by balancing them. Balance, however, sometimes creates considerable ambiguity, and the position of balance weights will vary considerably depending on each position.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emark (rights), the meaning of Article 20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such conflict-oriented approaches. TRIPS Agreement is an Annex to the WTO Agreement (Annex 1C) which can be a contextual element for that provision. In other words, the discussion on the nature of the trademark (rights) and on the context of the TRIPS Agreement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no conflict in the plain packaging, and such a regulation can be justified through ‘interpretation’. Although the TRIPS Agreement is largely filled with provisions aimed at increasing the level of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re exist examples of how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used mostly as a way to promote trade liberalization. If plain packaging is not a measure to discriminate-legally or factually-between foreign and domestic goods, it could fulfil the conformity requirement to the WTO Agre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