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효과에 따른 참여행동과 친사회적 행동을 분석하여 청소년의 신체활동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남녀 중학생 총 198명을 무선으로 표본추출 하였다. 먼저, 측정도구의 참여행동(개인태도, 주관적규범)은 김도영(2016)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친사회적 행동(배려성, 공감성, 협동성)은 정연우(2014)가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전체 설문구성은 5점 리커트(Likert)척도이며, 신뢰도계수인 내적합치도는 .75~.85이다. 조사절차는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여 검증을 마친후 상관분석, 공변량분석과 회귀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거쳐 도출된 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신체활동 참여형태의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참여행동의 개인태도와 주관적 규범의 평균이 높으며, 친사회적 행동의 배려성, 공감성과 협동성 등의 평균이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신체활동 참여정도의 참여빈도는 참여 행동의 개인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참여강도는 참여행동의 주관적규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참여빈도가 많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의 공감성과 협동성이 높으며, 참여강도가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의 배려성에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참여행동의 개인태도는 친사회적 행동의 배려성, 공감성과 협동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참여행동의 주관적 규범은 공감성과 협동성에 영향을 미친다.


The objective is to analyze the youth's physical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action and pro-social behavior. The objective of research 198 youth's in the middle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For measuring tools, 23 questions used by Kim(2016) was used in the sector of participation action and the measure tools, 25 questions used by Jung(2014) was used in the sector of pro-social behavior.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above measuring tool was found to be in the distribution of .75~85. For procedure of investigation to the research directly visited relevant and site to retrieve the question paper responded in the method of self-preparation. Then, they were analyzed by Anc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drawn through this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groups of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form is for the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ro-social behavior is high. Second, affects(+)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degree(frequency/intensity) i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ro-social behavior. Third, affects(+)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is pro-social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