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980년부터 2019년까지의 장기 시계열자료를 기반으로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복숭아 생산량에 전국적인 영향을미쳤는지를 살펴보고, 재배면적과의 동태적 관계를 명확히 검토·분석하여 관련기관 및 잠재·기존 농가의 다양한 의사결정에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첫째, 2010년 대규모의 자연재해(동해, 태풍)가 복숭아 생산량에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복숭아 생산량에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둘째, 1980년부터 2009년까지 재배면적의 변화가생산량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11년부터 2019년까지는 2015년 FTA폐원지원사업으로 인한외부효과로 복숭아 재배면적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생산량과의 동태적 관계가 크게 희석되었다. 셋째, 재배면적의 급격한 증가로 머지않아 30만 톤에 육박하는 복숭아가 생산되어 과잉공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중앙정부·지방정부·유관기관 등은 복숭아 재배 권고자제, 기후변화 영향 경감대책 마련과 적시 정보전달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 품질향상 및 수출확대 등을 통해 복숭아를 국외로 분산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복숭아의 경쟁력 강화, 안정적 공급으로 적정 수준의 가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기적으로 농가소득의 향상과 안정을 유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climate change has had a nation-wide impact onpeach production based on long-term time series data from 1980 to 2019 in Korea. We analyzed thestructural change in peach production and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its production andcultivation area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influence decision making by potential and existingfruit farms and related organizations. First, we found that large-scale natural disasters (freezingdamage, typhoons) affected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peach production in 2010. Second, thedynamic relationship between peach production and cultivation area was greatly diluted after 2010. The change in the cultivation area from 1980 to 2009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ion, but from2011 to 2019, the peach cultivation area rapidly increased due to external diseconomy from the2015 FTA closure support project. Third,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cultivation area, it is expectedthat an excess of nearly 300,000 tons of peaches will be produced in the near future. Therefore, the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take measures to reducepeach cultivation, mitig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establish a timely information deliverysystem. On the other hand, peaches should be distributed abroad through quality improvement andexport expansion.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peaches andmaintain a stable supply to improve and stabilize farm household income in the long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