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배경: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젊은 성인의 자살은 현대 사회의 심각한 사회 문제이다. 여러 보고들에 따르면 자살은 우울 증상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 젊은 성인의 우울 증상과 관련된 요인들을 알아보기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7년)의 응답자 중19–39세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총 1,519명을 분석하였다. 주관적인 우울 증상은 최근 1년 동안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 등을 느낀 적이 있는지에 따라 나누었다. 그와 관련된 요인으로 나이, 체질량지수, 동반 질환, 직업 유무, 소득 수준, 교육 수준, 가족 구성원 수, 배우자 유무, 주관적 건강 상태 및 스트레스 인지도, 흡연, 음주 빈도, 수면 시간, 그리고 신체 활동이 평가되었다. 결과: 다변량 분석으로 변수 보정을 시행한 결과 여성(OR, 1.972;95% CI, 1.336–2.909; P=0.001), 높은 스트레스 인지도(OR, 4.343;95% CI, 3.049–6.184; P<0.001), 그리고 현재 흡연자(OR, 1.914; 95%CI, 1.237–2.960; P=0.004)에 해당하는 군에서 우울 증상을 경험하는OR이 유의하게 높았고, 직업이 있거나(OR, 0.641; 95% CI, 0.451–0.912; P=0.014) 배우자가 있는(OR, 0.537; 95% CI, 0.321–0.896;P=0.017) 군에서 OR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 19–39세 성인의 우울 증상과 유의한 연관성을보인 요인들로 성별, 직업 유무, 배우자 유무, 스트레스 인지도, 그리고 흡연 유무가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 우울 증상을 호소하는 젊은성인의 수가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 모색을 위해 취업난, 소셜 미디어 등 우울 증상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 대단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suicides in young adults has increased rapidly, leading to a major social problem. According to severalreports, suicide is closely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Therefore, we aimed to evaluate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in youngadul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19 people aged 19–39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 excludingincomplete data. Subjective depressive symptoms were investigated as to whether they had felt sad or despaired for more than two weeks in thepast year. Age, BMI, comorbidities, employment status,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number of family members, marriage status, subjective healthstatus, subjective stress perception level, smoking, alcohol drinking, sleep duration, and physical activities were assessed as the factors that affectdepressive symptoms. Results: Of the 1,519 people, 187 (12.3%) people complained of depressive symptom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sex (OR, 1.972; 95% CI, 1.336–2.909; P=0.001), employment status (OR, 0.641; 95% CI, 0.451–0.912; P=0.014), marriage status (OR, 0.537; 95% CI, 0.321–0.896; P=0.017), subjectivestress perception level (OR, 4.343; 95% CI, 3.049–6.184; P<0.001), and smoking (OR, 1.914; 95% CI, 1.237–2.960; P=0.004) were factors that were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It can be estimated that cases of depression in young adults will increase more rapidly in the future.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we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various factors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nd to find a practical solution to the probl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