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인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을 대상으로 하여, 글로벌생산네트워크의 최근 변화 추이를 분석한다. 생산네트워크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사회망분석기법의 군집구조 및 중심성 분석을 활용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의 광의품목 분류보다 세분화한 HS6단위의 상품분류를 이용하여 반도체 및 자동차 세부 품목 무역데이터를 기초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와 반도체 모두에서 글로벌생산네트워크의 군집구조가 약화되는 추세가 관찰된다. 둘째, 미국과 그 외 주요 국가간의 내향 및 외향중심성은 2019년 전후로 반대 방향으로의 변화가 관찰된다. 이는 미국의 보호무역으로 각국의 수출네트워크가 축소되는 영향 및 수입네트워크 확대의 노력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셋째, 글로벌생산네트워크에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중국 및 반도체 품목에서 큰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관찰된다.


This paper analyzes changing patterns of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focusing on the automobile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The main methodologies are the community modularity and centrality analysis based on HS 6digit classificat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hesion and centrality analysis reveals that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s has been weakening in both automobile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Second, Indegree and outdegree centrality in U.S. and other major countries is observed to change in the opposite direction around 2019. This would be the results of the U.S. initiated trade policy and reponses in other countiries. Third, the impact on the production network is observed relatively large in China and semicomductor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