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김사량의 소설 토성랑의 일제강점기 도시빈민가 재현 양상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토성랑은 일제강점기 평양에 실재했던 도시빈민가인 토성랑을 장소적 배경으로, 일제강점기 도시빈민들의 삶을 다룬 작품이다. 따라서 토성랑은 일제강점기 도시빈민가라는 장소와 그 경관을 재현한 문학지리 텍스트로서 문학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문학 텍스트 분석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질적연구 방법론인 van Manen 현상학을 활용하여, 토성랑의 텍스트가 도시빈민가 토성랑을 재현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토성랑의 문학지리적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3개의 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토성랑 빈민가는 식민지 조선인이 일제강점기의 부조리한 사회 구조로 인해 도시 빈민으로 몰락하는 장소의 의미를 가진다. 둘째, 토성랑 빈민가는 도시빈민들이 주류 사회로부터 차별받고 배제되는 장소인 동시에, 빈민들 간의 반목과 갈등이 일어나는 장소로도 재현된다. 셋째, 토성랑 빈민가는 일제강점기 도시 빈민들의 불행한 삶과 파국적인 운명을 강요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일제강점기 문학, 그리고 빈민 문학을 중심으로 문학 작품에 대한 문학지리적 접근과 관련된 의미 있는 논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urban squatters during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Saryang Kim’s novel Toseonglang. The novel describes the life of the urban poor who lived in Toseonglang, a shanty town that existed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Toseonglang is possibly a significant literary geographical text representing the location and landscape of urban squatters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representation of the urban squatter in the text of Toseonglang was analyzed using van Manen’s phenomenolog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ppropriate for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text. The results revealed three themes to interpret the literary geographical meanings of Toseonglang. First, the Toseonglang squatter symbolizes a place in which the Joseon people degenerated into urban poor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Second, Tosenglang is represented as a place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f urban poor and mutual conflicts between them. Third, the squatter embodies a place that led to the unhappy lives and the collapse of the urban po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terary geographic discussions toward novels, particularly those published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ose on the poor, are meaning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