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재현불가능성(unrepresentability)’이라는 개념으로 집약된 20세기 이후 예술의 윤리적인 태도에 대해 저항하며, 논리적 반론의 길을 모색한다. 재현불가능성은 유태인 학살이나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와 같이 인간의 상상력을 넘어서는 재난 앞에서 재현의 주체가 윤리적 태도로서 재현을 포기하거나 금기시하는 비재현·반재현의 태도로 수렴된다. 이런 태도는 사유의 임계치를 넘어서는 사건이나 존재에 대한 윤리적 존중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그 결과 사건과 피해자는 망각되고 공동의 책임은 회피되며 비극은 신화화된다는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유해야 한다고 주장한 두 사상가, 조르조 아감벤과 아즈마 히로키의 논의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시야 바깥으로 내쳐진 타자를 다시 가시화시켜 상상 불가능한 연대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resists the ethical attitude of Art since the 20th century, which is concentrated under the notion of “unrepresentability", and seeks a path to logical rebuttal. The unrepresentability is a tendency that converges into a renouncement or taboo of the representation in art as an ethical gesture. It comes into practice when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faces to tragedy beyond human imagination, such as the Massacre of Jews or the explosion of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This attitude comes from ethical respect for accidents or existence beyond the threshold of reason, but the irony arises that events and victims are forgotten, common responsibilities are avoided, and tragedy become a myth. In this background, this paper examines the statements of two scholars, Giorgio Agamben and Azuma Hiroki, who argued that ‘nevertheless’ we should keep imagining and thinking about others. It will allow us to reconsider the other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unimaginable solid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