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생산·유통 단계의 식품이 아니라 섭취 직전 단계(tableready)까지 조리된 식품에 대한 유해물질 및 영양성분 함량분석을 통해 우리 국민의 유해물질/영양성분 섭취량에 대한가장 실제에 가까운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한국형 총식이조사를 기반하여 요오드 섭취량 추정하고 섭취 수준을 평가하였다. 1. 우리 국민의 섭취량 및 섭취빈도를 고려하여 주로 섭취하는 식품 115개를 대상식품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식품이 재료로 사용된 음식으로부터 식품별 대표조리법을 선택하여 ‘식품×조리법 pair’ 158건을 구성하였다. 2. 전국을 3개의 권역으로 구분하고 인구 규모에 근거하여권역별로 3개의 도시를 선정하여 대상식품 수집 지역으로 하였으며, 계절 특성 반영하여 수집하여 시료를 조제하였으며, 총 456건의 시료를 조제하였다. 3. 분석법 및 분석 데이터의 신뢰성 평가를 통해 확립한 방법으로 요오드를 분석한 결과, 대상식품 115개 중 69개(60%)에서 요오드가 검출되었으며, 다시마, 미역, 김과 같은 해조류에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4. 요오드 함량 분석 결과 및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량 자료를 활용하여 요오드 섭취량을 추정한 결과, 우리국민의 1인 1일 평균 요오드 섭취량은 416.5 g/day이었고 중앙값은 129.0 g/day 이었다. 평균 요오드 섭취량은 65세 이상이 가장 높았으나 중앙값은 3~5세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6~11세로 학령 전 및 학령기 아동에서 높았다. 5. 요오드 섭취량에 기여한 주요 식품군은 해조류(기여율77.3%), 우유류(5.2%), 어패류(4.5%), 채소류(3.9%) 순이었으며 성별, 연령층별 모두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고 연령층이 낮을수록 우유류의 기여율이 다소 높았다. 6. 우리 국민의 절반 정도(54.1%)는 적정 수준으로 요오드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현재 생산·유통 중인 식품을 실제 섭취하는 상태로 조리해 분석하는 총식이조사를 기반으로 요오드 섭취량을 추정한 본 연구 결과는 지극히 제한된 범위의 식품에 근거해 추정되었던 기존 문헌의 우리 국민 요오드 섭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실성이 높은 결과라고 사료된다. 한편, 생리적 취약 계층에서의 요오드 섭취 현황 및 관련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서 충분한 규모의 식품 섭취량 자료 확보가 필요하며, 이에 근거한 심층 분석을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요오드 과잉 섭취와 부족의 우려가 공존하는 우리 국민의 식생활 특성에 맞춘 영양정책과 교육 자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Food literacy (FL) can be an important concept that embodies the nutritional capabilities of individu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definition and core elements of FL from previous literature, to summarize measurement tools and intervention programs with FL,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d programs to integrate the concept of FL. Methods: Th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hrough PubMed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by combining the search term ‘food literacy’ with ‘definition’, ‘measurement’, ‘questionnaire’, ‘intervention’, and ‘program’. Among the 94 papers primarily reviewed 31 manuscripts that suited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used for analyses. Results: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definition of FL that encompasses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the concept. The definitions of FL we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uthor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core elements also varied. Based on the review, we propose a framework of FL that is in line with the current discussion among international researchers. This focuses on the core elements adapted from health literacy, namely functional, interactive, and critical FL. Specifically, we suggest some detailed elements for interactive and critical FL, which were often the subject of divergent views among researchers in previous literature. We found that most of the tools in the reviewed literature provided information on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were developed for a specific target population. Also, most of the tools were focused on functional FL. Similarly, most of the interventions targeted functional FL. Conclusions: This study reviewed the definition and core elements of FL, available measurement tools, and intervention programs using validated tools. We propose the development of tools with sound reliability and validity that encompass the three core elements of FL for different age groups. This will help to understand whether improving food literacy can translate into better nutritional intake and health status amo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