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암병동 간호를 대상으로 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상적 의사결정 및 회복탄력성 간에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B 광역시 소재 3개의 종합병원 암병동에서 1년 이상 경력의임종간호 경험이 있는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평균3.78±0.39점, 임상적 의사결정은 평균 3.33±0.22점, 회복탄력성은 평균은 2.42±0.41점이었다. 일반적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연령, 종교, 임상경력, 최종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종간호스트레스는 임상적 의사결정의 하위영역 중 결론의 평가 및 재평가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r=.23, p=.023), 임종간호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하위영역중 영성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20, p=.012), 회복탄력성과 임상적 의사결정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41, p<.001). 따라서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상황에 적합한 임상적 의사결정지침을 수립하고 임종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대상의 지속적인 교육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end-of-life care stress, clinical decision-making and resilience of nurses in cancer care uni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50 nurses having more than an year of work experience in end-of-life care part at cancer care unit of 3 different hospitals in B mtropolitan City. In result, end-of-life care stress was 3.78±0.39, clinical decision-making was 3.06±0.25, and resilience was 2.42±0.41. In resilience, significant differnce was found depending on age, religion, clinical experience, and final education. End-of-life care stress was correlated with subfactor(evaluation and reevaluation of consequences) in clinical decision-making, and subfactor(spirituality) in resilience. Clinical decision-making was correlated with resilience. Therefore, guidelines should be developed to make appropriate clinical decision for patients’ situation to alleviate the end-of-life care stress of nurse in cancer ward. Additionally, continuous education for nurses who take of dying patients should be accompan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