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화된 감사저널쓰기가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삶의 만족, 정적정서비율, 소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가 일생동안 지속되는 발달장애를 지닌 자녀를 장기간 돌보는 어머니들을 위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자조적 시행이 가능한 개입으로,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감사저널쓰기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어머니 28명을 주 1회 실험집단 1, 주 2회 실험집단 2, 무처치 통제집단으로 할당하였다. 8주간의 감사저널쓰기는 실험집단 1과 2 모두 통제집단보다 감사의 증진과 소진 및 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 및 정적정서비율에 있어서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집단에서는 정적정서비율에 있어 정신건강을 의미하는 ‘번영’ 상태에 해당하는 참여자 수가 증가하였고, ‘병리’ 상태에 속하는 참여자 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 1회 집단이 주 2회 집단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소진 및 우울의 감소에는 주 1회보다 주 2회 집단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자기 자신을 위한 심리지원 서비스 받기를 꺼려하는 장애아 어머니들에게 직접적인 유익을 줄 수 있는 대안적 심리개입을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writing a structured gratitude journal writing on the satisfact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ositivity ratio, burnout, and depression. In this study, gratitude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as long-term sustainable self-help interventions for mothers who care for their children with lifelo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Twenty-eight mother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assigned once a week to experimental group 1, twice a week to experimental group 2, and non-treatment control groups. In both experimental groups 1 and 2, the eight-week gratitude journal writ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gratitude, reducing burnout and depression than in control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three groups, with the positivity ratio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flourishing’, decreas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pathology’, and reducing burnout and depression.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suggesting alterna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hat could benefit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who are reluctant to receive psychological services for themsel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