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율성지지 정도가 진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 있어 귀인성향(내적, 타인, 우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데이터스프링코리아를 통해 모집된 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 308명(남학생 153명, 여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하여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4를 이용하여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분석을 위한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변인에 따른 평균 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측정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율성지지와 귀인성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율성지지는 귀인성향의 내적귀인, 진로 성숙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귀인성향의 내적귀인과 진로성숙도는 정적 상관을, 귀인성향의 타인귀인과 우연귀인은 진로성숙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자율성지지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타인귀인과 우연귀인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타인귀인 또는 우연귀인 성향이 높은 청소년의 경우 어머니의 자율성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자율성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귀인성향(내적, 타인, 우연)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하여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개인의 귀인성향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며, 청소년의 진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attribution style(internal, powerful others, chance attribu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aternal/paternal autonomy support and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elf-reported data of 308(153 boys, 155 girls) high school students(10, 11, 12th grade) were collected through Dataspring Korea and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maternal and paternal autonomy support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high school students’ internal attribution and career maturity. Internal attribu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while powerful others and chance attribu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attribution style(powerful others and chance attribution)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aternal autonomy support and career maturity. In other words, the positive effect of maternal autonomy support on career maturity was relatively diminished among the adolescents who had a higher incidence of powerful others or chance attribution. The findings show the important role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ttribution style on th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and these results may be profitably applied when develop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