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산업별 제도 환경에 따른 CSR의 동질성을 강조하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국가 수준의 제도 및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른 게임산업 CSR의 이질성에 주목한다. 5개 국가 및 지역 15개 주요 게임 기업의 CSR 제도화 수준 및 정책 범위를 평가했고, 이를 토대로 국가별 특성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기업 사례를 제시했다. 분석결과, 게임산업 CSR 유형은 제도화 수준이 높고 정책 범위도 포괄적인 유럽형, 제도화 수준은 높지만 정책 범위는 한정적인 일본형, 제도화 수준은 낮지만 정책 범위는 포괄적인 미국형, 제도화 수준이 낮고 정책 범위도 한정적인 한국·중국형으로 구분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산업 특유의 제도 환경에도 불구하고, 국가 수준의 제도 및 사회·문화적 환경의 차이에 따라 특정 산업 내에 다양한 CSR 유형이 공존할 수 있다는 점을 논증한다. 아울러, 한국게임 기업의 CSR 제도화 수준 제고 및 정책 범위 확대가 시급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While various studies had emphasized the homogeneity of CSR as per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each industry, this study focuses on the heterogeneity of CSR in the game industry influenced by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the socio-cultural factors at the national level. We examine the degree of CSR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extensiveness of CSR policies of 15 major game firms in five countries or world areas. It led us to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provide typology for the country paths. We also conduct case studies representing each type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ed typology. The typology analysis concludes a high level of CSR institutionalization and a comprehensive policy range is the European type, and contrary to the Korean-Chinese type that has a low level of both institutionalization and policy range. The American type shows a low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with a comprehensive policy range, while the Japanese have a high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but a limited policy range. As a result,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various CSR types can emerge within a particular industry, notwithstanding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peculiar to the industry. This heterogeneity results from the differences in national-level institutions,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factors. Furthermore, this calls for Korean game companies to expand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CSR and broaden the range of CSR policies urg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