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유아교육환경에서 ‘유아 원격수업’에 대한 이슈를 분석하여 이에 따른 어려움과 지원방향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빅데이터 사이트인 Textom을 통해 ‘유아+온라인수업’, ‘유아+원격수업’ 키워드를 입력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UCINET 6 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위 50개 키워드는 ‘유아’, ‘수업’, ‘온라인’, ‘교육’순이었다. 둘째, 연결중심성에는 ‘유아’, ‘놀이’, ‘제공’이 근접, 매개 중심성에는 ‘연구’, ‘자료’, ‘환경’이 높은 연결을 보이는 키워드로 나타났다. 셋째, CONCOR분석에서는 총 8가지 군집이 형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월별 수집 양은 2021년 1월이 가장 많이 집게 되었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원격수업의 장점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유아의 발달수준에 알맞은 수업 제공을 위한 다양한 지원과 노력을 통해 올바르게 정착해야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 원격 수업 관련 이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원격수업 제공에 따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fficulties and support directions by analyzing issues about 'remote early childhood class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distancing policy after COVID-19. Through Textom, a big data site, data were collected by entering keywords "infant+online class" and "infant+remote class" and analyzing data using UCINET6 analysis program. According to the study, the top 50 keywords were 'infant', 'class', 'online', and 'education'. Second, keywords such as "infant", "play" and "provide" were found to be close to the center of connection, and "research", "data" and "environment" showed high connections to the center of intervention. Third, CONCOR analysis resulted in a total of eight clusters. Finally, the monthly collection was the highest in January 2021. Therefore, it should be properly settled through various support and efforts to provide classes suitable for the level of development of infants by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remote clas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Based on these results, we explore social awareness of issu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remote classe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mote classes pro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