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비밀보장에 대한 기업상담 세 주체(상담자, 직원, 인사 담당자)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의 시나리오를 활용한 모의 연구방법을 통해, 비밀보장 문제 상황에서 세 주체의 비밀보장 판단과 그 이유를 살펴보았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기업상담자 13명, 일반 직원 14명, 인사 담당자 11명으로부터 수집한 질적자료에 대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주체의 비밀보장 판단은 사례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내담자의 증상이 심각하지 않은 사례에서는 세 주체의 판단이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고위험 사례의 경우 주체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세 주체가 보고한 비밀보장 판단의 이유는 주체별, 사례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인사 담당자들은 사고 가능성이 낮은 사례에서는 내담자, 상담자 및 상담센터, 조직 등을 고려하였고, 고위험 사례에서는 주로 조직을 고려하여 비밀보장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들은 사례의 유형과 무관하게 상담윤리와 내담자를 비밀보장 판단의 이유로 보고하였다. 기업상담자들은 내담자, 조직, 상담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비밀보장을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업상담의 실제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ree stakeholders' perceptions of confidentiality in workplace counseling. Through analogue research using hypothetical scenarios, we explored the contents and the reasons of three stakeholders’ confidentiality judgments.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13 workplace counselors, 14 employees and 11 personal managers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three stakeholders' primary judgments on confidentiality were different for each case. In the case where the client's symptoms were not serious, stakeholders' judgments were similar, whereas in the high-risk case, the judgments were different among the stakeholders. The reasons for the confidentiality judgme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takeholders and cases. Personnel managers considered clients, counselors, counseling centers, and organizations in the case with low probability of accidents, and mainly considered the organization in the high-risk case. Regardless of the type of case, employees reported counseling ethics and clients as reasons for confidentiality judgment. Workplace counselors made judgments on confidentiality by considering clients, organizations, and counselors comprehensivel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workplace counseling practice and follow up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