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 젊은 성인 근시안에서 연령, 굴절이상도, 각막굴절력, 동공크기, 동공중심이동이 고위수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안과질환과 각막굴절교정술 경험이 없고, 20세에서 39세 사이의 젊은 성인 근시안 200명을 대상으로I-Profilerplus(Zeiss, Berlin, Germany)를 사용하여 고위수차 및 굴절이상도, 각막굴절력, 동공크기, 동공중심이동을 측정하였으며, 고위수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 : 20~30대 젊은 근시안에서 안구의 전체 고위수차는 나이가 많을수록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고(p<0.001), 수평 코마, 수직 코마, 구면수차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all, p<0.001). 안구의 전체 고위수차는 등가구면굴절력이 음(-)의 방향으로 증가할수록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고(p<0.001), 구면수차는 양(+) 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p=0.004). 또한, 평균 각막굴절력이 증가하면 전체 고위수차와 구면수차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고(p<0.001, p=0.025), 수평 코마수차와 수직 코마수차는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p=0.001, p<0.001). 동공크기가 클수록 수직 트레포일과 구면수차는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고(all, p<0.001), 동공중심 이동량이 귀 방향으로 증가할수록 수평 코마수차는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고(r=0.207, p=0.003), 위 방향으로 증가할수록 수직 코마수차는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r=0.446, p<0.001). 결론 : 젊은 성인 근시안의 고위수차는 나이, 굴절이상도, 각막굴절력, 동공크기, 동공중심 이동에 따라 변할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수평 코마, 수직 코마, 구면수차를 제어한 안경렌즈 및 콘택트렌즈를 설계할 경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ge, refractive errors, corneal refractive power, pupil diameter, and pupil center shift on high-order aberrations (HOAs) in young myopic eyes. Methods : The myopic eyes of aged 20 to 39 years who had no ophthalmologic diseases and refractive surgery were recruited. I-Profilerplus (Zeiss, Berlin, Germany) was used to measure HOAs and refractive errors, corneal refractive power, pupil diameter, and pupil shift, and factors affecting HOA were analyzed. Results : In young myopes, as the age increased, the total HOA was increased in the positive (+) direction (p<0.001), and the horizontal coma, vertical coma, and spherical aberration (SA) were incre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all, p<0.001). As the equivalent spherical refractive errors incre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the total HOA was incre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p<0.001), and the SA was increased in the positive (+) direction (p=0.004). As the mean corneal refractive power increased, the total HOA and SA were incre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p<0.001, p=0.025), and the horizontal coma and vertical coma aberration were increased in the positive (+) direction (p=0.001, p<0.001). As the pupil diameter increased, vertical trefoil and SA were increased in the positive (+) direction (all, p<0.001). As the pupil center shift increased toward the lateral, the horizontal coma aberration increased in the positive (+) direction (p=0.003), and as the pupil center shift increased toward the superior, the vertical coma aberration increased positive (+) direction (p<0.001). Conclusion : The ocular HOAs of the young myopes changes according to age, refractive error, corneal refractive power, pupil size, and pupil center shift and the results in this study would be cornerstones in designing lenses for spectacle and contact l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