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 반응 교수법을 활용하여 누리과정을 기초로 5세 어린이집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방법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 누리과정 분석 및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관련 문헌조사/분석 및 실제사례연구. 누리과정의준거 및 요소 등에 대한 문헌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를 근거로 계획-실행-평가로 이어지는 누리과정 연계 문화 반응적 다문화교육의구조적 틀을 마련하여 총 3 주제의 누리과정 연계 다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한 프로그램 내용에 관하여 전문가 협의회 및교사자문을 받아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교사활동안, 평가, 성찰 등의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의 누리과정 연계 주제는 ‘즐거운 어린이집, 소중한 가족, 우리 동네’ 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총 200명의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서는 3개월간 문화 반응적 다문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은 기존 누리과정을 운영하였다.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다문화인식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가 이루어졌다. 효능검증의 결과는 실험집단의 경우 다문화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인식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수용성에서도 비교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다문화 수용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은 다문화 유아들뿐 아니라 전체 유아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인종적 차이뿐 아니라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aged 5 years old based on nuri process us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method. Methods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first of all, the analysis of literatures, research, and actual cases related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riteria and elements of the Nuri process. Based on this, a structural framework of culturally respo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was developed relating to Nuri curriculum. The goals, teacher activity plans, evaluations, and reflections were finalized. The theme of linking the Nuri process of the developed program is ‘Pleasant Daycare Center, Precious Family, Our Village’. Resul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culturally responsive multicultural program for three months with a total of 100 five-year-old children, and the children of the comparative group operated the existing nuri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effect 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wareness, and the recognition level increased. In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comparison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 experimental group's children showed an increase in multicultural acceptance. Conclusions The program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the Nuri process seems to be applicable not only to multicultural children, but also to all children, and to help raise awareness and attitudes about cultural diversity as well as ethnic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