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Purpose: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알람 반응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고 그 반응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Methods: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자료 수집과 분석이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Giorgi의 현상학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Results: 중환자실 간호사의 알람 반응은 알람을 인식하고 대처하는 역동적인 구조로 나타났다. 의료기기 알람에 대한 인식은 알람 소리를 통해, 알람에 대한 이전 경험을 통해, 알람의 진위 여부를 통해 그 중요성을 판단하였다. 알람에 대한 대처로 알람의 기기를 조작하는 문제해결능력이 증가하고, 환자의 상황에 맞게 알람 설정을 개별화하거나 알람의 위급도를 고려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대처하는 유연성을 나타냈다. 또한 응급 상황에서는 동료 간에 상호 책임감을 느끼며 알람을 해결하였다. Conclusion: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중환자실 간호사의 알람 반응의 본질적 구조는 알람에 대한 인식과 대처였으며, 이러한 구조를 설명하는 주요한 특성은 민감성, 판단력, 문제해결능력, 유연성, 상호책임성이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alarm reaction and identify essential structure of the reaction experien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intensive care unit nurses working in higher general hospit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The ICU nurse’s alarm reaction was shown to be in a dynamic structure to recognize and respond to alarms. Medical device alarms were recognized through alarm sounds and the importance of alarms was determined through previous experience of alarms and whether alarms were true or fals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to manipulate the alarm devices increased with reaction to alarms, and the nurses showed flexibility to individualize alarm settings according to patients’ situations, or respond to alarms according to priority considering the degree of emergency of alarms. In addition, nurses resolved alarms while feeling a sense of mutual responsibility among colleagues in emergency situations. Conclusion: The essential structure of ICU nurses’ alarm reaction revealed through this study was the recognition of and reaction to alarms, and the major characteristics explaining this structure were sensitivity, judgment, problem solving ability, flexibility, and mutual respon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