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참다래(키위)로 만든 제품의 장 기능 및 변비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21명으로 주관적 변비 증상을 호소하는 자로서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반인이었다. 연구 설계는 사전 실험설계이며 참다래(키위)를 복용하고 이에 대한 주효과인 대장 정체 점수와 대장 통과 시간을 측정한다. 부효과는 주관적 변비 사정검사를 측정하여 개인적으로 변비 개선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주효과에 있어 변비군의 숫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대장 정체 점수 및 대장 통과 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주관적 변비 사정검사 결과 참다래(키위)제품 섭취 전후 주관적 변비 사정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장 기능 및 배변 활동의 개선을 나타내었다. 참다래(키위)제품이 기존에 알려진 다시마 및 유산균, 섬유질 제품과 유사하게 장 기능 활성화 및 변비 개선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참다래(키위)가 기능성 식품이 아니며, 접근성이 용이한 과일이라는 장점으로 인해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배변 활동 도움에 되는 건강식품 콘텐츠 개발에 긍정적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연구는 사전 실험설계로서의 한계를 가진다. 이에 향후 무작위 실험군 대조군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nese gooseberry (kiwi)-based products on the improvement of intestinal function and constipation. In this study, 21 participants with no underlying disease and complaining of subjective constipation symptoms were selected. Through a pre-experimental design, the main effects, including the colon stagnation score and colon transit time, were assessed after the consumption of Chinese gooseberry (kiwi)-based products. To evaluate the side effects of this product, a subjective constipation assessment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egree of constipation improvement at an individual level. The results for the main effect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onstipatio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colon stagnation score and colon transit time were also reduced. Additionally, the participants’ subjective constipation assessment test reveal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intestinal function and bowel activity before and after the consumption of Chinese gooseberry (kiwi)-based products. Similar to the previously known kelp-, lactobacillus-, and fiber-based products, we showed that Chinese gooseberry (kiwi)-based products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intestinal function and constip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y food products in the future that can help improve bowel movement. Moreover, Chinese gooseberry (kiwi) used in this study is not a functional food and is easily accessible. However,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as it is based on a pre-experimental design. Therefore, studies on randomize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re need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