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와 우울․불안의 관계를 인터넷 과의존이 매개하여 중학생의 우울․불안을 자존감이 조절하는지에 대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스트레스 척도, 인터넷 과의존 척도, 우울․불안 척도, 자존감 척도를 이용하여 2019년 공개된 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아동데이터 383명 자료(중학교 1학년 114명, 2학년 138명, 3학년 131명)에 대해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모델1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터넷 과의존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터넷 과의존이 이를 매개하며,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를 자존감이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인터넷에 과의존을 하게 되며, 우울․불안이 증가하여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자존감이 보호요인으로 중요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e o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Surveys were conducted as part of the 13th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survey included academic stress, internet overdependence, depression and anxiety, and self-esteem scales. A total of 383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surveys.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There were three major results. First, internet overdependence partially mediatio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self-estee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self-esteem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esteem i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internet overdependence on mental health and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this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