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개인으로 하여금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도록 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그간 잠재적 소비자로서의 개인이 기업에 대해 어떤 역할을 요구하고 있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빈약한 수준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에, 개인의 CSR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사회학적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CSR 태도와 유사한 가치체계를 지닌 개인의 인권정향 및 그 결정요인의 모델로부터 그 메커니즘을 추론하고, 최근 개인의 인권정향을 설명하는 유력한 이론인 세계사회이론의 모델을 바탕으로 개인으로 하여금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요구하도록 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2008년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의 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이론, 사회인구학적 관점과 더불어, 세계시민성에 주목하는 세계사회이론의 변수들이 개인의 CSR 태도에 대한 설명력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2005년부터 2008년까지의 자료를 모두 모아 분석한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유사한 패턴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만, 세계시민성의 경우, 자료의 한계로 말미암아 4개년 총괄 분석에서 충분히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없었으나, 세계시민성의 주요 요소로 간주되는 대학졸업 여부가 CSR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촉발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개인의 글로벌 정체성 형성이 개인의 사회적 태도 정립에 중요한 역할을 행사한다는 세계사회이론의 전제를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를 개인의 CSR 태도 연구에 적용시킴으로써 새로운 통찰을 시도하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factors that lead individuals to be supportive of the idea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In doing so, we use the corporate modules of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from 2005 to 2008. Ou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2008 KGSS reveals that citizens’ support of CSR is strongly influenced by age, the level of interpersonal trust, the level of trust toward top executives, and global attitudes. More specifically, younger age, higher trust on society, lower trust on corporate executives, and higher tolerance on migrants appear to be the key conditions accelerating citiz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CSR. This investigation brings to the fore the public’s attitudes toward CSR and thus allows researchers to goes beyond the hitherto corporate-centered analysis of CSR. The new direction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a sociological perspective that stresses the influence of society and the public in shaping corporate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