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 대형마트의 총 매출액과 주요 품목별 매출액의 상승률과 변동률 동향을 비교 분석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에서는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대형마트 매출 동향(품목별)」에서 전년 동 월 대비 증감률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기간은 2008년 1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월간자료를 이용하였다. 주요 품목으로는 매출액 상위의 가전문화(Home Appliance Culture), 의류(Clothing), 가정생활(Family Life), 스포츠(Sports), 잡화(Sundries), 식품(Food)을 선정하여 각 품목별 변동성과 동조화현상을 찾아보았다. 대형마트는 의류, 식료품, 생활용품, 가전제품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모든 품목들을 갖추어 놓고 저가로 판매하는 매우 큰 규모의 오프라인 소매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대형마트인 eMart, Homeplus, Lotte Mart 등을 대상으로 매출액의 변동률을 살펴보았다. 2020년 8월 기준으로 점포당 매출 액은 56.6억 원이고 총 점포 수는 405개 그리고 소비자 1인당 구매단가는 53,659원이다. 2019년 8월과 2020년 8월의 매출액 증감률을 보면 오프라인에서 2.4% 감소하고 온라인에서 2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 점포수(2019년 기준)는 eMart 158개, Homeplus 140개, Lotte Mart 124개, Costco 16개, Mega Mart 14개가 있다. 대형마트 규제에 따른 혜택을 기존의 전통시장이 아니라 중형 슈퍼마켓이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0년 대형마트 출점 규제, 2012년 의무휴업을 실시한 이후 소비자들을 대형마트에서 중형 슈퍼마켓과 온라인쇼핑몰로 이동하였다는 분석이다. 중형 슈퍼마켓은 전국 6만여 개로 추산되는데 각종 식재료를 저가로 팔아 자영업자와 일반 소비자들이 많이 찾고 있으며, 주로 전통시장이나 대단지 아파트 주변에서 성장하고 있는데 각 지역별로 윈플러스마트, 세계로마트, 우리마트, 트라이얼코리아, 트라이얼마트, 트라 박스 등이 있다. 기술통계량 평균에서 식품은 양(+)으로 나타난 반면 의류, 잡화, 스포츠, 가정생활, 가전문화 순으로 음 (-)의 수치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왜도에서 의류와 잡화가 음(-)으로 나타나 하락폭이 크게 나타난 반 면 식품은 양(+)으로 나타나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에서 총 매출액에 대해 각 품목별로 높은 수준의 관계를 보여 주고 있다. 반면 스포츠와 식품은 가장 낮은 상관관계로 나타나 코로나19로 인 해 상반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회귀분석결과, Coefficient에서 식품이 높게 나타난 반면 의류와 스포츠 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있다. 잡화를 제외한 모든 품목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산출되었다. 변동률 분석에서 최근 의류와 잡화 등은 대부분 하락률이 크게 나타나 있으나 식품은 오히려 상승률 이 높게 나타나 있어 코로나19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분포도에서 의류와 잡화는 변동률이 상대적으 로 넓게 분포되어 있지만, 가전문화와 가정생활은 변동률이 좁고 빈도수가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안정 된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Scatter 분석에서 총 매출액과 대응하여 식품 및 가정생활은 매우 높은 수 준의 동조화현상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가전문화와 스포츠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동조화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Q-Q Plot 분석에서 식품과 가정생활은 일시적으로 급등세가 나타나 있으나 의류와 잡화는 일시적인 급락세가 종종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Box-Box Plot 분석에서 의류와 잡화는 주로 하단에 강한 타점 (⚪,✴)이 나타난 반면 가정생활과 식품은 주로 상단에 강한 타점(⚪,✴)이 나타나 있다. Hodrick-Prescott Filter에서 최근 총 매출액의 Trend가 0% 이하에서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당분간 매출액의 감소 추세가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충격도 분석에서 총 매출액은 각 품목별로 반응이 대체로 크게 나타나 있다. 특히 충격반응이 총 매출액과 식품, 총 매출액과 가정생활에서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나 있다. 최근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발달로 온라인쇼핑의 매출 규모가 점점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대형마트의 매출 규모가 감소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이러한 현상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대형마트는 신규점포규제와 휴무확대 등으로 매출규모가 갈수록 감소하고 있다. 이를 타계하기 위해, 대형마트는 거 대한 물류 인프라와 오프라인 매장 활용,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소비자에게 다가서야 할 것이다. 대형마트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는 품목들을 발굴하면서 매출액 증가를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on the increase/decrease rate compared to the same month of the previous year in 「Hypermart Sales Trend(by Items)」 in the National Statistical Portal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or the analysis period, monthly data were used from January 2008 to August 2020. The main items were Home Appliance Culture, Clothing, Family Life, Sports, Sundries and Food. We looked for volatility and synchronization phenomenon of each item. A hypermarket is a very large offline retail store that sells all items necessary for daily life such as clothes, groceries, household goods and home appliances at low prices. In this study, the trend of the fluctuation rate of sales was examined for major domestic Hypermarkets, eMart, Homeplus and Lotte Mart. As of August 2020, sales per store were KRW 5.66 billion, the total number of stores was 405, and the purchase price per person was KRW 53,659. Comparing the growth rate of sales in August 2019 and August 2020, it was found that offline decreased by 2.4% and online increased by 20.1%. The number of hypermarket stores (as of 2019) is 158 E-Mart, 140 Homeplus, 124 Lotte Mart, 16 Costco, and 14 Mega Mart. It was found that medium-sized supermarkets, not traditional markets, benefited from Hypermarket regulations. After the regulation of opening hypermarkets in 2010 and mandatory closures in 2012, consumers have moved from hypermarkets to midsize supermarkets and online shopping malls.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60,000 medium-sized supermarkets nationwide, and they sell various ingredients at low prices. Many self-employed and general consumers are looking for it, and it is mainly growing in traditional markets or around apartment complexes. In each region, there are Oneplus Smart, Saegero Mart, Woori Mart, Trial Korea, Trial Mart, and Trabox. In the average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food was positive(+), while clothing and sundries, sports, family life and home appliance culture were negative(-). Also, in skewness, clothing and sundries showed a large drop in negative(-), but food showed a large increase in positive(+). Correlation analysis shows a high level of relationship for each item to total sales. On the other hand, sports and food showed the lowest correlation, showing contradictory appearances caused by Corona 19.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coefficient was high in food, but relatively low in clothing and sports. In the regression analysis, all items except sundr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alysis of the rate of change, recently, clothing and sundries showed a large decline, but food showed a rather rising rate. The reason is judged to be the effect of Corona 19. In the distribution chart, the rate of change of clothing and sundries is relatively wide. However, home appliance culture and family life show relatively stable volatility due to the narrow and high frequency of change. In the scatter analysis, food and family life showed a very high level of coordination with respect to total sales. On the other hand, home appliance culture and sports show a relatively low level of synchronization. In the Q-Q plot analysis, food and household life showed a temporary surge, while clothing and miscellaneous goods showed a temporary sharp decline. In the Box-Box Plot analysis, clothing and miscellaneous goods showed strong RBIs(o,✴) mainly at the bottom, but family life and foods mainly showed strong RBIs(o,✴) at the top. In Hodrick-Prescott Filter, the recent trend of total sales is showing a modest downtrend below 0%, so the decline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In the impact analysis, the total sales responded largely to each item. In particular, the shock response is relatively larger in total sales to food and total sales to family life.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smartphones and the Internet, the scale of online shopping sales is increasing. Relatively, the sales volume of hypermarkets is declining. With Corona 19, this phenomenon is becoming more pronounced. Sales of hypermarkets are gradually decreasing due to regulations on new stores and expansion of holidays. In order to pass away, hypermarkets will have to reach out to consumers by providing huge logistics infrastructure, offline stores, and various services.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increase sales while discovering items that have strengths in hypermark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