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화된 한국 100대 기업의 글로벌 사회공헌사업이 어떤 조건과요인에 의해 도입되고 수행되었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4년까지 발행된 456권의 지속가능성보고서에 포함된 글로벌 사회공헌활동 2,020건을코딩하여 시계열 추이를 파악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글로벌 사회공헌사업 자료를 기업 시계열 자료와 결합하여 패널 자료를 구성하였고, 이를 토대로 사건사 분석과 패널 토빗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기업의 규모 및 경영활동의 성과와 사회적 책임 이행의 관계에 주목한 여유자원이론,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홍보 및 명성 관리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본 이미지 관리이론, 기업의 행위를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제한 신제도주의이론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들이 글로벌 사회공헌사업을 개시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조직 외적 환경적 요인이 주요한 인과적 영향력을 행사했던 반면, 이러한 활동이 확장되어 가는 단계에서는 환경적 요인뿐 아니라 기업의 여유자원, 그리고 이미지 및 명성 위험 관리의 필요성도 함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조직의 혁신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조직 내부적‧ 기능적 요인과 조직 외부적‧ 환경적 요인을 상호 보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이론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under which conditions the top 100 Korean companies adopted glob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global CSR) and explains why those companies accelerated their efforts to develop these global philanthropic activities. We argue that both rationalist and institutionalist accounts are needed to better explain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global CSR activities by Korean big businesses. In doing so, we reviewed the contents of these companies' sustainability reports published from 2003 to 2014, and then we systematically extrapolated frequency and geographical density of their overseas CSR activities to elucidate the trends of global CSR practices by Korean corporations. The obtained data were combined with companies' time-series data and used to construct panel data for event-history analysis as well as tobit models. For the analyses of the initial adoption of gobal CSR, we found that the variables derived from neoinstitutionalist account showed more explanatory power than those stemming from rationalist accounts of slack resource and image management. When analyzing the continuing execution of global CSR activities, however, the rationalist view‒emphasizing the endogenous factors related to slack resource and image management‒appears to be most relevant alongside some of institutionalist‒exogenous‒effects. Taken together, the rise and expansion of the new organizational innovation, i.e., global CSR, require a comprehensive, yet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involving organiz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