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한민국은 2016~2017년 사이 정권을 무너뜨리고 새 정권을 수립한 역사적 대변혁을 이루었다. 그 시기 대통령을 탄핵하고 새 정권을 탄생시킨 과정은 가히 혁명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는 격동기였다. 그래서 일반 시민들은 그것을 촛불혁명으로 부른다. 이 논문에서는 촛불혁명을 엄밀한 의미에서 학문적으로도 혁명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고 판단하고 이 역사적 사건에 주목해 그 특징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를 함에 있어 본 논문은 사회학의 거장들인,베버와 뒤르케임 그리고 슈츠를 함께 거론하고 있다. 얼핏 보면 이들은 혁명론의 선두주자라 할 수 있는 마르크스와 비교해 볼 때 혁명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이들로 간주되어 왔다. 그렇지만 필자가 볼 때 그들의 사회사상과 이론에는 우리의 촛불혁명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을 받을 부분이 충분히 녹아 있다고 판단되기에 그들의 사회학이론을 준거로 우리의 촛불혁명을 다루려고 한다. 물론 이들에 집중하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계급갈등과 투쟁에 기초한 프롤레타리아혁명을 설파한 마르크스는 제외했다. 요약하면 본 논문에서는 급격한 사회변동, 특히 혁명을 다루는 데 필수불가결한 세 가지 요소인 베버의 카리스마와 뒤르케임의 집합적 흥분, 그리고 슈츠의 일상생활세계의 자연적 태도(의 취약성)와 그 초월에 대해 상세히 다루고, 우리의 촛불혁명을 고찰함에 있어 그것들의 적용가능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베버와 뒤르케임 그리고 슈츠의 사회학 이론을 통해 촛불혁명을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The year between 2016 and 2017 in South Korea was the time for the historical and catastrophic change where the existing regime collapsed and a new political administration was brought by the raging citizens. The whole process of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and establishment of the new regime was definitely a revolutionary event without any bloodshed or forms of violence, thus enough to be called as ‘Candle-light Revolution’ by the vast majority of Korean citizens including scholars. Considering the Candle-light Revolution a revolution from scholastic aspect as its entitlement by the mass, this paperattempt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is historical event. To do so, this paper addresses Weber, Durkheim, and Schutz’s sociological insights regarding revolutions, and scrutinizes the Candle-light Revolution in the light of the three great thinkers’ ideas. These three sociologists, unlike Marx, have been found irrelevant to the notion of revolution, although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ir idea and theories do show essential connections to a revolution; however, those offer enough insights for comprehending and analyzing the Candle-light Revolution in part. Since the Candlelight Revolution was not brought due to the class conflict and struggle, rather than bridging the Marxist view to the analysis, this paper projects an analysis mainly focusing on Weber’s theory of charisma, Durkheim’s collective effervescence, and Schutz’s natural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