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잡 크래프팅과 업무몰입의 관계에 대한 국내 및 국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과제 및 방향 탐색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 5월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잡 크래프팅과 업무몰입과의 관계를 분석한 논문 25편(국내논문 10편과 국외논문 15편)의 연구 대상, 측정도구, 연구 방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잡 크래프팅과 업무몰입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2012년 이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인적자원개발, 심리학, 관광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둘째, 잡 크래프팅 측정도구는 직무 요구-자원 이론에 근거한 측정도구와 잡 크래프팅 개념에 기반을 둔 여러 가지 측정도구가 사용되고 있고, 업무몰입의 측정도구는 대부분 UWES가 사용되고 있다. 셋째, 국내 연구는 개인수준의 횡단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지만, 국외 연구는 개인수준 뿐만 아니라 경험표집방법, 자기-상대방 효과 모델 적용 방법 등 다양한 다수준 연구와 종단 연구가 수행되었다. 넷째, 잡 크래프팅과 업무몰입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에서 잡 크래프팅과 업무몰입의 정적(+) 관계가 검증되었으나, 부적(-) 관계가 밝혀지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work engagement in articles published in Korea and abroad from 2010 to 2019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 total of 25 articles were selected and research samples, data, and method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findings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work engagement has increased gradually since 2012, targeting workers in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human resource development, psychology, and tourism. Second, job crafting measurements are based on job demand-resource theory and job crafting concepts; UWES is mostly used for the measurement of work engagement. Third, domestic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at the individual and cross-sectional level. However, research abroad was conducted not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at the multi and longitudinal levels. Lastly, the study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work engagement, but it also verified some negative relationships. Therefore,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research implication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