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생산·유통 단계의 식품이 아니라 섭취 직전 단계(tableready)까지 조리된 식품에 대한 유해물질 및 영양성분 함량분석을 통해 우리 국민의 유해물질/영양성분 섭취량에 대한가장 실제에 가까운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한국형 총식이조사를 기반하여 요오드 섭취량 추정하고 섭취 수준을 평가하였다. 1. 우리 국민의 섭취량 및 섭취빈도를 고려하여 주로 섭취하는 식품 115개를 대상식품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식품이 재료로 사용된 음식으로부터 식품별 대표조리법을 선택하여 ‘식품×조리법 pair’ 158건을 구성하였다. 2. 전국을 3개의 권역으로 구분하고 인구 규모에 근거하여권역별로 3개의 도시를 선정하여 대상식품 수집 지역으로 하였으며, 계절 특성 반영하여 수집하여 시료를 조제하였으며, 총 456건의 시료를 조제하였다. 3. 분석법 및 분석 데이터의 신뢰성 평가를 통해 확립한 방법으로 요오드를 분석한 결과, 대상식품 115개 중 69개(60%)에서 요오드가 검출되었으며, 다시마, 미역, 김과 같은 해조류에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4. 요오드 함량 분석 결과 및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량 자료를 활용하여 요오드 섭취량을 추정한 결과, 우리국민의 1인 1일 평균 요오드 섭취량은 416.5 g/day이었고 중앙값은 129.0 g/day 이었다. 평균 요오드 섭취량은 65세 이상이 가장 높았으나 중앙값은 3~5세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6~11세로 학령 전 및 학령기 아동에서 높았다. 5. 요오드 섭취량에 기여한 주요 식품군은 해조류(기여율77.3%), 우유류(5.2%), 어패류(4.5%), 채소류(3.9%) 순이었으며 성별, 연령층별 모두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고 연령층이 낮을수록 우유류의 기여율이 다소 높았다. 6. 우리 국민의 절반 정도(54.1%)는 적정 수준으로 요오드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현재 생산·유통 중인 식품을 실제 섭취하는 상태로 조리해 분석하는 총식이조사를 기반으로 요오드 섭취량을 추정한 본 연구 결과는 지극히 제한된 범위의 식품에 근거해 추정되었던 기존 문헌의 우리 국민 요오드 섭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실성이 높은 결과라고 사료된다. 한편, 생리적 취약 계층에서의 요오드 섭취 현황 및 관련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서 충분한 규모의 식품 섭취량 자료 확보가 필요하며, 이에 근거한 심층 분석을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요오드 과잉 섭취와 부족의 우려가 공존하는 우리 국민의 식생활 특성에 맞춘 영양정책과 교육 자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dietary iodine intake of Koreans by a Total Diet Study (TDS) which provides ‘closer-to-real’ estimates of exposure to hazardous materials and nutrients through an analysis of table-ready (cooked) samples of foods. Methods: Dietary intake data from 2013-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as used to select representative foods (RFs) for iodine analysis. A total of 115 RFs were selected and 158 ‘RF × cooking method-combination’ pairs were derived by pairing each RF to corresponding cooking method(s) used more frequently. RFs were collected from 9 mega-markets in 9 metropolitan cities nationwide and mixed into composites prior to cooking preparation to a ‘table ready’ state for iodine analysis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odine intake of Koreans was estimated based on the food intake data of the 2016- 2018 KNHANES. Results: High iodine content was detected in seaweeds such as sea mustard and kelp. The mean iodine intake/capita/day was 418.4 g and the median value was 129.0 g. Seaweeds contributed to 77.4% of the total iodine intake and the contribution by food item was as follows: sea mustard (44.0%), kelp (20.4%), laver (13.1%), milk (3.9%), egg (3.5%). Compared to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20,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iodine intake exceeding the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or below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was high in the physiologically vulnerable groups (infants, children, pregnant women, and lactating women). Conclusions: The results, drawn from a TDS, are regarded closer to real estimates for iodine intake of Koreans compared with values in existing literature, which were based on a very limited variety of foods. On the other hand, it seems necessary to seek out solutions for the problematic iodine intake among physiologically vulnerable groups through in-depth analyses on food intake data collected with significant scale &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