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의 수유유형과 수유기간이 이유보충식 도입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지와 이런 이유보충식 도입 지연 양상이 유아기 우식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2008~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2~3세 유아 1,521명을 대상으로 이유보충식 도입 시기에 따른 수유특성, 구강관리 실태, 우아기 우식증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 중 생 후 4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이유보충식을 시작하는 이유보충식 적기도입군은 1,118명(73.5%) 이었고, 6개월이 지나서 이유보충식을 시작하는 이유보충식도입 지연도입군은 403명(26.5%)이었다. 2. 이유보충식 지연도입군에서 적기도입군보다 모유수유를 경험하지 않은 유아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206), 이유보충식 적기도입군과 지연도입군 간 평균 모유수유 기간은 차이가 없었으나(p=0.6955), 조제유수유기간은 지연도입군에서 10.3개월로 적기도입군의 8.4 개월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길었다(p=0.0002). 3. 이유보충식 도입 시기에 따른 유아기 우식증 분포를 살펴본 결과, 이유보충식 지연도입군에서 우식증이 있는 대상자 비율(28.3%)이 적기도입군에 비해(21.2%)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65). 이유보충식 도입 지연이 유아기 우식증의 위험을 높이는지 살펴보고자 유아기 우식증과 관련있는 요인을 보정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유보충식 지연도입군이 적기도입군에서보다 유아기 우식증의 위험이 1.81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OR, 1.81; 95%CI, 1.27-2.57).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유아에서 영아기 수유 유형과수유 기간이 이유보충식 도입 시기에 영향을 미치고, 이유보충식의 도입이 지연되면 유아기 우식증 위험을 높인다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므로, 우리나라의 모유수유 실천율 제고 및올바른 이유보충식 도입 관련 교육·홍보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또 하나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infant feeding type and duration are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and whether the appropriate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in infancy is related to tooth decay in toddl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1,521 toddlers among 2~3 year old children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08 to 2015. The toddlers were divided into the appropriate group (4~6 months) and delayed group (>6 months) according to the timing of complementary feeding introduction. Results: The delayed group were 26.5% of subjects and the formula feeding period in the appropriate group and delayed group was 8.4 and 10.3 months, respectively (P=0.002).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breastfeeding period between the appropriate group and delayed group (P=0.6955). Early childhood caries was more common in the delayed group (P=0.0065). The delayed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was associated with a risk of early childhood caries according to the logistic models (OR 1.81, 95% CI 1.27-2.57). Conclusions: The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is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carie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proper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in infancy should be emphasized, and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for maternal care and breastfeeding should be provided through health care institution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complementary feeding, infant feeding, early childhood caries, todd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