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동부 Java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신체계측과 혈액검사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대상자들의아침식사 실태를 조사하고, 아침식사하기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확대된 건강신념모델의 다섯 가지 요인(인지된 민감성,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이득, 인지된 장애, 자기 효능감)과 계획적 행동이론의 주관적 규범 요인을 추가하여 아동들의 아침식사하기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같다. 1. 조사대상자들은 빈혈율 21.2%, HAZ에 의한 발육부진비율 11.5%로 영양결핍현상을 보였으며, BMIZ에 의한 중등도 허약(14.7%)과 과체중과 비만(12.2%)이 공존함을보여주었다. 2. 아침식사실태 결과, 등교 전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비율이 21.8%였고, 아침결식의 이유 중 먹을 음식이 부족한 경우(18.8%)도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아침식사를 하는 경우에도 질적으로 균형있는 식사를 하는 비율은 10% 정도에불과하였다. 3. 아침식사하기 행동의도를 묻는 질문에서 ‘아침식사를할 때 영양을 생각해 골고루 섭취할 것이다’는 항목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4. 건강신념모델의 요인들 중 인지된 민감성,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이득 및 자기 효능감이 아침식사하기 행동의도와상관성이 있음을 나타내었고. 이 중 자기 효능감(β=0.447, R2 =0.200)과 인지된 민감성(β=0.373, R2 =0.139)이 아침식사하기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아동들에게는 준거인 중 어머니의 주관적 규범이 가장컸고, 주관적 규범과 아침식사 행동의도와도 양적인 상관이있었으나 아침식사하기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명력은 매우 낮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인도네시아 조사 대상 아동들의 아침식사하기 행동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침식사를 하지 않았을 때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음을 충분히 인지시키는 교육과 아동 스스로 아침식사를 잘 할 수 있을 것이라는자신감과 기대를 높여주는 교육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동들에게 실시하는 직접적영양교육 뿐 아니라 가장 영향력이 있는 준거인인 어머니들을 통한 간접적인 개입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consuming breakfas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Malang, East Java, Indonesia,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breakfast behavior. Methods: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as per the health belief model, and slightly modified by adding the subjective normative factor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7 to August 15, 2017 using a questionnaire, after receiving the permission PNU IRB (2017_60_HR). Results: The subjects were 77 boys (49.4%) and 79 girls (50.6%) suffering from malnutrition with anemia (21.2%) and stunting ratio of Height for Age Z Score (HAZ) (11.5%). Furthermore, moderate weakness (14.8%) and overweight and obesity (12.3%) by Body Mass Index for Age Z Score (BMIZ) were coexist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or breakfast, 21.8% did not eat breakfast before school, with 18.8% of the reasons for skipping breakfast being attributed to lack of food. Even for subjects partaking breakfast, only about 10% had a good balanced diet. The average score of behavioral intention on eating breakfast was 2.60 ± 0.58. The perceived sensitiv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s, and self-efficacy of the health belief model correlated with breakfast behavior. Of these, self-efficacy (β=0.447, R2=0.200) and perceived sensitivity (β=0.373, R2=0.139) had the greatest effect on breakfast behavior. Mother was the largest impact person among children.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breakfast behavior intention among children surveyed in Indonesia, we determined the effectiveness by focus on education which helps the children recognize to be more likely to get sick when they don't have breakfast, and increase their confidence in ability to have breakfast on their own. We believe there is a necessity to seek ways to provide indirect intervention through mothers, as well as impart direct nutrition education to children.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breakfast eating behavior, health beliefs model, Indonesia, elementary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