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주관한 ‘어린이환경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조사(CHEER)’에서 실시하였던연구 중 일부자료를 활용하여 학령기 ADHD와 식이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는 2005년∼2010년에 진행되었으며 조사대상자는 대도시 3곳, 대형 산업단지 및 공업단지 인근지역 4곳, 농어촌 3곳 등 10곳 지역의 27개 초등학교 1~6학년 학생이었다. 식이섭취는 SFFQ, 식행동, 식이패턴 등을 ADHD 진단은 한국판 DuPaul 검사를 실시하여 ADHD군과 정상군으로 분류하여 총 5,414명을 대상으로 ADHD와 식생활, 영양소, 식이패턴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DHD위험군은 12.3%, AD위험군(주의력결핍형) 3.7%, 그리고 HD위험군(과잉행동-충동성형)은 1.1%, AD 와HD위험군(복합형)은 7.4%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남아가 여아에 비해 ADHD위험군 비율이 약3배 높았으며, BMI, 키, 몸무게, 허리둘레, 가족소득수준, 부모 결혼상 태는 ADHD위험군과 정상군에서 차이를 보였다. 3. ADHD위험군과 정상군 간의 흡연관련 사항을 분석한결과 어머니 흡연여부, 임신시 흡연여부, 간접흡연이 유의적관련성을 나타내었다. 4. ADHD 위험군과 정상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양소는 에너지, 지질, 식물성지질, 당질, 비타민 B1이었으며ADHD위험군은 정상군보다 에너지(85 kcal), 식물성지질(2 g 이상) 높았다. 5. ADHD위험군과 정상군 간의 식행동 분석결과에서는‘아침식사’, ‘과식횟수’, ‘편식횟수’, ‘식사속도’, ‘하루식사횟수’, ‘한끼밥양’에서 ADHD위험군이 정상군에 비해 부정적식행동을 보였다. 6. 대상자의 SFFQ 결과에서 도출한 식사패턴 5개 중 ‘식물성식품 및 어류군’은 멸치, 콩류, 김치류, 채소류, 감자, 해조류, 과일, 견과류, 생선 등의 섭취가 높게 나타났으며, 비교적 골고루 섭취하는 편이었다. ‘단음식군’은 잡곡밥 섭취가현저히 떨어졌고, 아이스크림, 탄산음료, 초콜릿 등의 섭취가높게 나타났다. ‘육류 및 생선군’은 단백질 위주 식사이었으며, ‘과일유제품군’은 국수나 라면 섭취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밀가루군’ 은 쌀밥 섭취가 낮았고, 밀가루로 만든 식품섭취가 높았다. 7. 식품패턴별 영양소 상관성 분석에서 대부분 영양소에서양 혹은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8. 식이패턴별 섭취량기준 군간(Q1∼Q5)차이에서 대부분 영양소가 Q1수준>Q5수준이었으며 식이패턴별로 역의관련성을 보인 영양소도 있었다. 9. 식이패턴과 ADHD위험도 분석에서 단음식군은 선형관련성을 보여 섭취가 낮은 군에 비해 섭취가 높은 군의 ‘ADHD 위험군’, ‘AD와HD위험군’ 의심 가능성이 각 1.59, 1.62배높았다. 10. 과일유제품군은 섭취가 높은 군이 섭취가 가장 낮은군에 비해 ADHD위험군과 AD위험군에서 의심 가능성이0.55, 0.59배를 보였으며 비선형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11. ADHD위험가능성과 양의 관련성을 나타낸 식품은 선형, 위험가능성과 음의 관련성을 보인 식품은 비선형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 강점은 대규모 연구, 또한 연구에 영향을 주는 성별, 지역, 나이, 결혼상태 등의 요인들을 보정하였음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는 점이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단면 연구로 변화와 관련된 변인을 파악하기 어렵고, 내적 변화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SFFQ로 진행된 설문조사였으므로 식품섭취 변이를 모두 반영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는 점이었다. 초등학생에서 긍정적 식이섭취와 식행동은 ADHD 위험도 감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 본 연구 결과로ADHD 관리 및 치료에서 식생활의 중요성에 대한 부분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Objectives: An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mental health in children has been suggested in a series of studies, yet detailed analyses of dietary patterns and their effects on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re limited. Methods: We included 4569 children who had dietary intake data as part of the CHEER (Children’s Health and Environmental Research) study conducted nationwide from 2005 to 2010. We assessed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y the DuPaul’s ADHD Rating Scales and dietary intake by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Using intake data, we constructed five dietary patterns: “Plant foods & fish,” “Sweets,” “Meat & fish,” “Fruits & dairy products,” and “Wheat based.” Results: The overall proportion of ADHD was 12.3%. Boys (17.8%) showed a higher rate of ADHD than girls (6.5%). The total intake of calories (85 kcal) and plant fat (2g) in the ADH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ADHD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dietary habits such as having breakfast and meal frequenc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eating speed, unbalanced diet, overeating, and rice consumption. Regarding dietary patterns, the “Sweets” category was relevant to high ADHD risk (OR 1.59, 95% CI: 1.18, 2.15 for Q5 vs. Q1) in a linear relationship. An inverse, non-linear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Fruits & dairy products” and ADHD (OR 0.55, 95% CI: 0.39, 0.76 for Q4 vs. Q1). Conclusions: Our study confirm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diet and ADHD in elementary school age children. Moreover, linear or nonlinear associations between diet and ADHD draw attention to the possible threshold role of nutrients. Further studies may consider characteristics of diet in more detail to develop better intervention or management in terms of diet and health.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ietary patterns,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linear or nonlinear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