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남자육상 중‧장거리 선수를 대상으로 총 8주간의 BCAA를 1일 2g씩, 1회 섭취가 근손상, 피로물질 및 스트레스 호르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BCAA 섭취운동집단 8명, 위약집단 8명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근손상의 CK, LDH에서는 집단, 시점, 채혈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BEG집단의 시점과 채혈시기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피로물질 암모니아, 젖산에서는 집단, 시점, 채혈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암모니아는 시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채혈시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젖산은 시점과 채혈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호르몬 코디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에서는 집단, 시점, 채혈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은 시점과 채혈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8주간 BCAA 섭취가 중‧장거리 육상 선수들을 대상으로 근손상, 스트레스호르몬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피로물질에서는 미비한 결과를 보였다.


This study observed the effects of 2 grams of BCAA consumed once a day every day for a total of 8 weeks by medium and long distance male track and field high school athletes on muscle damage, fatigue substances, and stress hormones by making classifications of two groups with a BCAA consuming exercise group of 8 subjects and a placebo group of 8 subjects. From the results, First, interactive effects were significant among groups, time points, and blood collecting periods in the CK and LDH of muscle damage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showed with the time points and blood collecting periods of the BEG group. Second, no interactive effects were showed among groups, time periods, and blood collecting periods with the fatigue substances of ammonia and lactic acid.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showed for time points with ammoni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ed for blood collecting period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ed in the time points and blood collecting periods of lactic acid. Third, interactive effects did not appear among groups, time points, and blood collecting periods with the stress hormones of cortisol,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ed for time points and blood collecting periods with cortisol,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These research results generally showed that 8 weeks of BCAA consump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muscle damage and stress hormones of medium and long distance track and field athletes but only inadequate results with regard to fatigue sub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