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 선시(禪詩)의 품평에 있어 ‘만당구승(晩唐九僧)’과 ‘소순기(蔬笋氣)’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고려말 이숭인(李崇仁, 1347~1392)은 당시 최고의 시승(詩僧)이었던 천봉 만우(千峰 卍雨, 1357~1447)의 문집에 발문을 쓰면서 만우를 ‘만당구승’에 비견하였다. 또한 조선 중기 허균(許筠, 1569~1618)은 사명 유정(四溟 惟政, 1544~1610)의 문집 <서> 등에서 대사의 시를 ‘만당구승’의 시와 같은 반열이라고 하였다. 허균이 활동하던 조선 중기는 唐시풍이 유행하던 시기로 이러한 허균의 찬사는 매우 의미가 깊다. 그러므로 만당구승은 한국 선시 품평에서 주로 긍정적인 평판에 쓰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찬탄은 극소수에 지나지 않고 대체로 한국 선시의 품격은 ‘소순기’를 통해 평가 절하된다. 고려시대에 ‘소순기’는 선시 품평의 한 기준으로써 객관적인 의미로 쓰였지만, 조선 초기 서거정에 의하여 부정성이 강조된다. 이후 조선 중후기에 걸쳐 선시 품평에 있어서 ‘소순기’의 부정성은 계승되었고, 승가에서도 이를 수용하였다. 즉 조선 중·후기의 사대부 문인들은 선사들의 문집의 서문을 통해 ‘탈소순기(脫蔬笋氣)’를 강조하였고, 이를 승가(僧家)에서도 받아들이며 서로 권유하였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는 정약용(丁若鏞, 1762~1836) 등이 연담 유일(蓮潭 有一, 1720~1799)과 아암 혜장(兒庵 惠藏, 1772∼1811)의 시를 평가하면서 ‘소순기’의 긍정성을 다시 인정하며, 부정적인 산도기(酸饀氣)와는 구분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한국 선시 품평에서 ‘만당구승’과 ‘소순기’는 중요한 선시 품평의 수단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중 만당구승은 찬사의 품격으로 쓰일 때 비교되는 키워드이며, 소순기는 부정성을 강조할 때 쓰이는 키워드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소순기의 긍정적인 면이 강조 되는 경우도 일부 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Korea seon poetry's criticism, important two criteria that are as Korea is ‘mandangguseung (晩唐九僧)’ and ‘sosunjigi(蔬笋氣)’ The korea dialect, Isungin (李崇仁, 1347 to 1392) Records when the best test drive at the time manu did compete with ‘mandangguseung’ the manu to write the cheonbongmanu(千峰 卍雨1357~144). Mid-Joseon Kingdom were also Heo Gyun(許筠, 1569 to 1618) of samyeongyuieong(四溟 惟政, 1544 to 1610) ambassador's ambassador to the introduction of a collection of works of oil wells ‘mandangguseung’ poem said to be like a poem. At that time is very these Heo Gyun to the fad of period style, praise was very mean deep. These mandangguseung was mainly used to a positive reputation in Korean Urban Korea seon poetry. But this with admiration was left in the later largely without Korea seon poetry is denied through the ‘sosunjigi.’ ‘sosunjigi.’ in the Goryeo Period are used as a means by objective criteria in Urban Korea seon poetry, but early Joseon seogeojeong by negativity is enforced. Korea seon poetry in Korea since to get out of the negativity of these ‘sosunjigi’ efforts. Middle and upper-class writers of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preface to the shippers ‘a close friend for talsosun’ stressed that Buddhist(僧家) and then followed it up even within and with each other. But the late Joseon period, Jeong, the positivity of a close friend for a velum, to evaluate the yeondamyuil(蓮潭 有一, 1720 to 1799) Jeong Yak-yong(丁若鏞, 1762~ 1836), negative and light again. Acidity also did to sandogi(酸饀氣) and us. Urban Korea seon poetry is the strong tendency depends from the perspective of oil built up, writers and Korea generally, they accepted the part in a monk last Labor Day. This happens in China the price of oil built up, writers by the bad is due to have them, perpetuating a system introduced to Korea. In addition, Confucianism and oppressing Buddhism of Joseon as prejudice view works with a derogation on a monk as the policy, Buddhist poetry for missing an objective angle also be the cause. Therefore, will need judgment on access to natural fears Korea seon poetry away from this an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