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의 모와 자녀간 형성된 교환관계의 수혜수준이 변화될 때, 교환의 수혜차와 더불어 모자녀 외의 대안적 관계에서 수혜할 수 있는 대안적 자원이 유발하는 정서적 반응은 무엇이며, 어떤 균형유지전략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모와 그의 자녀로 구성된 366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녀들은 부모와 동거하고 있는 중학생부터 대학생까지 분포된다. 연구결과, 모자녀 간 교환의 수혜차나 대안인식 중 어느 하나만으로 균형유지전략의 사용을 예상하기 어려우며, 두 개의 요인을 같이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정서적 반응은 현저하지 않지만 모와 자녀 모두 현재의 교환수준을 유지하려는 전략을 사용하려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특히 교환자원의 수혜차보다 대안자원의 수준이 현재 교환관계의 교환수준을 유지하려는 전략사용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호형기능을 사용하여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와 자녀 모두 상대에게 유리한 교환상태와 대안인식이 상호작용하여 균형유지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환이론의 원리가 자녀뿐 아니라 모에게도 적용됨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motional responses evoked and also the equi-dependence maintenance strategies used in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 Korea. For the study, we used survey data of 366 pair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collected in 2017 and also in 2019. Children included in the study are students enrolled in middle or high school or college.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equi-dependence maintenance strategies can be predicted when both asymmetrical benefit difference and perception of alternatives are considered together. Even though the emotional responses were not salient, both mothers and children are inclined to use the equi-dependence maintenance strategy to stay at the present equi-dependence point. Especially with the higher perception of alternatives, the strategy to maintain the equi-dependence point at the current mother-child exchange relationship is more actively used. Als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teraction effect using the spline function shows that the magnitude of asymmetry in the benefits more favorable to the partner and the perception of alternatives interacted positively on the equi-dependence maintenance strategy.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rinciple of exchange theory, especially equi-dependence principle, is well applicable not only to children but also to m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