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본 연구는 한국 기혼 여성에서 만성적인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 법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국복지패널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매년 조사된 설문을 이용하여 언어폭력 및신체폭력이 우울증상 및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나이, 교육수준, 경제수준, 음주, 종교, 만성질환,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관계 만족도 등을 공변량으로 하였다. 결 과5년 간의 언어폭력 노출지수는 우울을 1.180배, 자살사고를 1.276배 높였으며 이는 우울증상의 영향을 보정해도 유의하였다. 반면, 5년 간의 신체폭력 노출지수는 우울을 1.486배, 자살사고를 1.362배 높였으며 우울증상의 영향을 배제하였을 때는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 론이전에는 자살 사고가 없었던 여성에게 IPV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었을 때 우울증상의 유무와 상관없이 자살사고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것에 의의가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고려하면 IPV를 경험한 여성에 대한정신과적 개입이 자살률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s:This study looked at the effects of chronic IPV on suicide ideation among married women in the country. Methods: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five-year-old Korea Welfare Panel and analyzed using questions about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that were investigated every year. Age, education, and economic levels, drinking, religion, chronic disease,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 were included as variables. Results:The five-year cumulative score of verbal viol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ve symptom, and the relative risk was 1.180. The relative risk of five-year-old cumulative score of verbal violence in suicidal ideation was 1.276, and it was also significant even if they exclude the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 On the other hand, the five-year cumulative score of physical violenc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suicide ideation if they excluded the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 Conclusions: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found that chronic verbal IPVs increase suicide ideation, even though they do not contain effects of depression. Such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 in IPV in married women may help reduce the nation's suicide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