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탐구 수업 설계 강좌에서 공동의 탐구 수업을 설계 하고 시연하였음에도 탐구 수업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적 이해를 보여준 예비교사인 도형과 진우에게 주목하여, 강좌에서 그들의 위치짓 기가 탐구 수업에 대해 서로 다른 인식적 이해를 구성하는 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두 예비교사의 탐구 수업 설계 및 시연 과정에서 만들어진 산출물들을 수집하고 수업 시연을 녹화 및 전사하였으며, 두 예비교사와의 논의를 녹음 및 전사하여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도형은 강좌 전반에 걸쳐 교수자에게 평가받는 대상으로 위치한 것이 부각된 반면, 진우는 평가 대상으로 위치함과 함께 탐구 수업에 대한 이해를 구체화하고 수업 설계에 관한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예비교사로 위치한 것 또한 강좌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도형과 진우의 위치짓기는 그들이 탐구 수업 설계 및 시연 과정에서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적 이해를 정교화하는 과정에 반영되었다. 탐구 수업 설계 과정에서는 도형과 진우 모두 탐구 수업을 학생이 교사의 안내 하에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는 사고와 실행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공통된 이해를 보였으나, 수업 시연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을 마주하 면서 상이한 인식적 이해를 구성하는 양상을 보였다. 도형은 자신이 계획대로 수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예상하고 그에 반응하여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학생들이 실험을 진행하여 교사가 예상한 실험 결과가 나오는 수업이라는 통제된 탐구 수업을 추구하였다. 그에 반하여 진우는 학생의 선지식을 바탕으로 한 추론 과정을 중시하면서 탐구 수업을 학생들이 그들의 선지식을 바탕으로 과학자들과 같은 추론 과정을 따라가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이라고 이해하였다. 예비교사 교육 과정에서 예비교사의 위치짓기가 그들의 인식적 이해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탐색한 본 연구 결과는 탐구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적 이해 정교화를 지원하는 전략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positioning of tw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STs) is reflected in their different epistemic understandings of inquiry-based lessons. We collected the PSTs’ products during their design and enactment of an inquiry-based lesson and recorded their practices in the enacted lesson.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f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one PST, Dohyung was positioned as a subject of evaluation throughout the course and the other, Jinwoo, was positioned as a preservice teacher and a subject of evaluation. Their positions were reflected in their epistemic understandings of inquiry-based lessons, which were developed when designing these lessons. During lesson design, both PSTs showed a shared understanding; they explained inquiry-based lessons as students setting and evaluating hypotheses under teachers’ guidance. However, as they faced unexpected situations during lesson enactment, they developed different epistemic understandings. To receive a good grade, Dohyung showed a strong preference for anticipating situations that could occur in class and planning responses to them. He understood inquiry-based lessons as ones in which students conduct experiments to produce results expected by the teacher. On the other hand, Jinwoo emphasized the reasoning process based on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explained inquiry-based lessons as ones in which students construct new knowledge through a scientific reasoning process based on their knowled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strategies to support PSTs’ development of their epistemic understandings of knowledge construction in inquiry-based les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