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반 성인 소비자와 고령소비자의 금융지식 수준과 금융교육의 하위영역별내용 중요도를 분석하여 향후 맞춤형 금융교육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금융교육의 하위 내용영역은 ①시장경제의 기본원리, ②금융소비자정보의 탐색과 활용, ③금융소비자피해 예방, ④현금관리와 재무상태, ⑤저축과 투자, ⑥연금과 은퇴설계, ⑦소비자금융과 신용, ⑧위험과 보험의 8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IPA를 위해 각 내용영역에 대한 중요도 평가와 금융지식 평가를 진행하였다. 먼저, 내용영역별 중요도 평가는 2019년 7월-8월 사이 온라인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소비자학과 대학교수, CFP, 소비자행정 담당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 등 총 45 인으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일반 성인과 고령자를 대상으로 금융교육을 실시한다고하였을 때 어떤 내용이 중요한지에 관한 전문가의견을 수렴하였다. 소비자의 금융지식평가를 위해서는 한국소비자원의 「2018 한국의 소비자역량지수」 조사에 응답한 성인남․녀 소비자 2,000명의 자료를 65세 미만 일반 성인 집단(1,641명)과 65세 이상 고령자 집단(359명)으로 나누어 분석에 활용하였다. 동 자료는 2018년 7월 9일-8월 8일 사이성․연령․지역별 할당표본 추출하여 1:1 면접조사 방식으로 수집한 것이다. 기초분석 결과, 금융교육 내용 영역 가운데 무엇이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한지에 대한전문가의 의견은 직군 별로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일반인 대상 금융교육에서 대학교수 집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 내용 영역은 ⑥연금과 은퇴설계였다. 반면, CFP 집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 내용 영역은 ④현금관리와 재무상태였으며, 공무원/공공기관 직원 집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 내용영역은 ③금융소비자피해 예방이었다. 단, 고령자 대상 금융교육의 경우, ③금융소비자피해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는데 세 직군간 전문가 의견이 일치하였다. 각 영역별 한 문항씩 총 8개 문항으로 측정한 소비자의금융지식 수준은 일반 성인의 평균 정답률 71.36%, 고령자의 평균 정답률 63.96%로 고령자의 금융지식 수준이 일반 성인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IPA 매트릭스 분석 결과, 일반 성인 대상 금융교육의 “중점 개선” 분야(높은 중요도- 낮은 지식수준)에 해당하는 내용영역은 ⑦소비자금융과 신용, ⑧위험과 보험인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자 대상 금융교육의 “중점 개선” 분야에 해당하는 내용영역은 ⑥연금과 은퇴설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IPA 매트릭스의 활용 사례를 보여주기 위해 금융감독원이 2011년부터 현재까지 월1회 운영 중인 「FSS금융아카데미」의 수업 주제 134개, 발간교재 31개 및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의 발간자료 128개를 내용 분석하여 일반 성인 대상 IPA 매트릭스와비교하고, 일반 성인 대상 금융교육 추진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perts’ perceived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course contents and consumers’ financial knowledge. To conduct two sets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es (IPAs) for adults and the elderly, we analyzed levels of experts’ perceived importance and consumers’ financial knowledge. The levels of experts’ perceived importance are based on data obtained from 15 professors, 19 certified financial planners (CFPs), and 11 government officials from July to August 2019. The levels of consumers’ financial knowledge are based on data from 2,000 individuals included in the “2018 Consumer Empowerment Index in Korea” produced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Eight areas of financial education course contents include ① market economy principles, ② searching and utilizing financial information, ③ preventing consumer damage in the financial area, ④ cash management and financial status, ⑤ saving and investment, ⑥ pension and retirement planning, ⑦ consumer credit, and ⑧ risk management and insurance. Expert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course contents for adults (age 20-64) differed according to their profession. For instance, ⑥ pension and retirement planning was the most important area for professors, while ④ cash management and financial status was the most important area for CFPs and ③ preventing consumer damages in the financial area was the most important area for government officials. For the elderly (age 65 and over), experts’ opinion ranked ③ preventing consumer damages in the financial area as the most important regardless of their profession. Also, the elderly’s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was lower than th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of adults. In the IPA matrix for adults, the financial education course contents such as ⑦ consumer credit and ⑧ risk management and insurance were located in the “concentrate here” area, while ⑥ pension and retirement planning was located in the same area in the IPA matrix as for the elderly. We also conducted content analyses for the financial education projects by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Korea and the Korea Financial Investor Protection Foundatio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s showed that more classes an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concentrate here” area found in the IPA matrix.